변동폭이 큰 pro bnp 관련 문의입니다 이게 문제가 없는지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다름이 아니오라 널뛰기하는 pro bnp 수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올해 1월 스텐트 1년을 맞이하여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정상판정을 받고 2월에 심장 초음파를 하였는데 정상으로 판정 받았습니다
그런데 3월에 기립성저혈압으로 실신을 한 후 해당월부터 겁이나서 검사중입니다
pro bnp 수치를 병원에서 검사를 하였습니다 [03.04, 115] - [03.05, 46.91] - [03.06, 35.61] - [03.08 42.71] - [03.10 27.36] - [03.16, 93.37] 으로 기준치 300안에는 있지만 자꾸 변동폭 차이가 심하게 나타납니다
어제 좀 무거운 물건을 들기도 하고 운동을 좀 과하게 하였는데 혹시 이게 어제 운동의 영향일 수도 있는지요?
기준치 범위 내에서의 변동폭은 문제가 있는지요?
심근경색이 다시 올까봐 너무 두렵습니다
pro bnp의 상승 원인이 무엇인지요..
하루하루가 진짜 지옥같습니다.. 조금이라도 수치가 오르면.. 죽을 것 같은 기분만 들고 ... 너무나도 힘이듭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Pro BNP (엄밀히 말하면 NT Pro BNP)는 정상 범위 안에서 수치 변동이 꽤 큰 검사지표입니다.
약 30~40%의 변동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있으니 정상 범위 내라면 안심하시고 생활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BNP 수치는 심장의 부담에 따라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습니다. 운동을 할 경우 수치의 상승을 보일 수 있습니다. 정상 범위내에 위치해 있다면 크게 신경쓰실 필요 없으며, BNP 수치로 심근경색 여부를 파악 및 예측할 수 없으므로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수치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이며 질병에 몰두하는 것도 좋은 습관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NT-pro BNP는 우심실, 우심방 등에 압력이 가해지면
올라가게 되는데 심장에 압박이 있다고 판단하여 뇌에서 분비하게 되면 소변이
자주 나오게 되어 심장의 압력을 줄이고자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줄이려면
이뇨제를 복용해야 하지만 이뇨제를 과다 복용하는 경우, 수분 부족으로 인해
힘들어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