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동료평가제도 어렵고 고민이고 힘드네요

안녕하세요.

회사에 피어리뷰 라는 동료평가제도가 있습니다

나도 누군가의 가대상이며 평가자인거죠


알지도 못하는 사람을 평가하려는 고통.

고민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가을비가 내리는 10월입니다.
    가을비가 내리는 10월입니다.

    안녕하세요. 뜨거운 여름은 바닷가에서~~입니다.

    전혀 모르는 직원이 아니라 같은 팀 또는 같은 부서의 동료가 아닌가요?

    결국은 팀 또는 부서의 성과에 얼마가 기여했는지를 동료들도 같이 평가하는 제도로,

    팀장이 자기 주관으로 평가하는걸 보완하는 제도로 취지는 좋은거 같습니다.

    해당 동료가 올해 뭘 했는지를 발표하면서 그 내용을 토대로 평가하셔도 되고요,

    평소 업무에 임하는 자세로 팀에 기여한 정도로 평가하시면 되더라고요.

  • 안녕하세요. 너는나의운명이자행복입니다.

    잘 알지 못하는 직원은 같이 일하는 다른분께 한번 물어보시고 생각이드는 대로 평가하시면 될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기쁜멧토끼170입니다.

    아무래도 독단적인 평가를 막기 위하여 하는 것이긴 한데 실효성에는 항상 의문은 있습니다.

    근데 하라고 하면 해야죠...어떻게 하겠습니까....

  • 안녕하세요. 활달한셰퍼드229입니다.

    눈치 보지 마시고 그냥 사실대로 적는게 질문자님이 편하십니다. 일 못하는 사람을 일 잘 한다고 할 수 없으니까요,,

  • 안녕하세요. 활발한사슴212입니다.


    동료평가제도는 조직 내에서 동료들끼리 서로의 업무 수행 능력과 성과를 평가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평가제도는 다양한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몇 가지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동료평가제도의 어려운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관성과 편견: 동료평가는 주관적인 판단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인적인 편견이나 선입견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심리적 요소나 인간관계 등으로 인해 공정한 평가를 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상호간 경쟁: 동료들 사이에서 평가 점수나 순위에 따른 경쟁심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협력과 팀워크를 저해할 수 있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원은 자신의 입장을 보호하기 위해 정직하게 평가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3. 평가 기준의 모호함: 동료평가는 종종 명확한 기준 없이 이루어지거나, 객관적인 척도와 비교 대상이 부족할 경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공정하고 일관된 평가 결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으며, 개개인의 주관에 따라 차별화된 결과를 낳을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4. 신뢰와 익명성 문제: 동료들 사이에서 상호 신뢰와 익명성 확보는 중요합니다. 하지만 일부 구성원은 자신의 의견에 대한 후회나 보복 등 우려로 인해 솔직하게 참여하지 않거나 왜곡된 정보를 제공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5. 관리 및 분석의 복잡함: 많은 사람들 간의 다양한 평가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것은 복잡할 수 있으며 시간과 리소스를 필요로 합니다.


    동료평가제도는 장단점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하며, 구현 전에 충분한 계획과 교육이 필요합니다.

    조직 내에서 투명하고 공정한 프로세스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리자와 구성원들 간의 소통 및 피드백 문화 정착, 명확하고 적절한 기준 설정 등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풀잎에아침이슬761입니다.

    참 아이러니한게 동료평가제인것 같습니다. 때문에

    저도 이사람 저사람에게 조심스레 물어보고 진행해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