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병원은 꼭 동네병원을 통해 가야만 비용이 유리 한가요?
저는 약 20년 전에 침샘에 돌이 생겨서 수술로 침샘을 제거 했습니다.
당시에는 오른쪽 턱 밑의 침샘을 제거 했는데, 그 때와 거의 비슷한 증상이 왼쪽 턱 밑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당시에는 고대 안암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수술을 받은 것으로 기억하는데, 역시 동네 병원도 이비인 후과를 가는 것이 맞는지 우선 알고 싶구요?
이런 경우에도 꼭 동네병원을 통해서 대형 병원을 가는 것이 비용면에서 유리한 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침샘의 돌/염증이 의심되는 상황이라면
이비인후과 의료진의 진료를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3차 의료기관(상급종합병원) 진료를 받으시려면
1차, 2차 의료기관에서 발급한 진료의뢰서가 있어야
국민건강보험적용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진료의뢰서가 없어도 진료를 받으실수는 있지만
국민건강보험 적용을 받지 않기 때문에
같은 진료에도 진료비가 훨씬 많이 청구됩니다.3차 병원에서 진료의뢰서가 없이 진료가 가능한 경우는
응급, 분만 등의 상황이나 가정의학과 진료 등입니다.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턱밑 침샘 통증이라면 이비인후과나 치과 방문을 고려하시면 됩니다. 구강악안면 영역은 치과 영역이기도 하며 타액선은 치과 영역에서도 진료를 하고 있습니다. 즉 이비인후과나 치과 방문하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동네 병원을 통해 대형병원으로 간다고 해서 비용적으로 유리하지는 않으나 동네 병원이 상대적으로 수가가 저렴하며 대형병원이 수가가 더 높습니다. 즉 초기 단순 병일 경우에는 꼭 대형병원을 가지 않고 동네 병원 방문을 통해 치료하는게 금전적으로 이득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이료기관은 1차, 2차, 3차 의료기관으로 구분되며 각각에 적용되는 본인부담금의 비율이 다릅니다.
2차 의료기관은 의뢰서의 유무에 따라 비용 차이가 발생하지 않지만, 3차 병원은 기본적으로 의뢰서를 받아 내원하는 경우에만 보험적용이 되고, 의뢰서 없이 내원하는 경우에는 보험적용이 되지 않아 100%의 본인부담금을 청구하게 됩니다.
전체 진료비에 대한 본인부담금은(외래진료의 경우)
의원 : 30% (6세 미만21%, 임산부10%, 1세미만 5%, 65세 이상은 총액에 따라 차등 적용)
병원 : 35% - 읍면지역, 40% - 동지역 (임산부20%, 1세미만 10%)
종합병원 : 45% - 읍면지역, 50% - 동지역 (임산부30%, 1세미만 15%)
상급종합병원 : 60% (임산부40%, 1세미만 20%)
입니다.
의료급여를 받는 환자들은 위의 본인부담금과 별도의 본인부담금으로 운영되며, 의료급여를 받고자 하는 환자는 반드시 1차->2차->3차 의료기관 순서대로 거쳐야 의료급여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예외 규정으로 1차나 2차 진료의뢰서 없이 3차 의료기관으로 바로 내원하여 진료를 받아도 의료급여 적용 되는 경우가 있는데 , 그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호에 해당하는 응급환자인 경우
2. 분만
3. 보건복지부부장관이 고시하는 희귀난치성 질환 또는 중증질환을 가진 자가 의료급여를 받고자 하는 경우
4. 제3차 의료급여기관에서 근무하는 수급권자가 그 근무하는 의료급여여기관에서 의료급여를 받고자 하는 경우
5. 장애인복지법 제32조의 규정에 의하여 등록한 장애인이 장애인보장구를 지급받고자 하는 경우
6. 전염병의 확산 등 긴급한 사유가 있어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의료급여를 받고자 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