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현종은 어떻게 해서 5도 양계 등 군현제의 기본 골격을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고려는 거란의 침입을 많이 받았는데요 그런 고려의 현종은 어떻게 해서 5도 양계 등 군현제의 기본 골격을 만들었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종 이전의 고려의 군현제는 절도사 체제로 운영되었습니다. 절도사는 군사와 민정을 총괄하는 지방관으로, 중앙정부의 통제력이 미치지 않는 지역에서 독립적인 권력을 행사했습니다. 이러한 절도사 체제는 지방의 혼란과 중앙집권의 약화라는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현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도 양계 체제로의 군현제 개혁을 단행했습니다. 5도 양계 체제는 전국을 5도와 2계로 나누고, 각 도의 수령과 양계의 병마사를 임명하여 지방을 통치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5도의 수령은 중앙정부에서 임명하고, 양계의 병마사는 지방에서 선출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종은 지방제도를 군현제로 확립하여 전쟁 발발 시 고려군의 일사불란한 명령 계통을 확립 하기위함이었으며, 기존의 12주 절도사를 폐하고, 5도호부 75도에 안무사를 두었다가, 다시 이를 폐하고 지방을 5도 양계 체제로 확립합니다. 즉, 3경-4도호부-8목-56지주군사-20현령-28진장이라는 군현제의 기본 골격을 완성하였으며, 기본적인 5도 양계에 3경 4도호부 8목으로 지방제도가 확립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현종은 강조정변(목종을 폐위시키고 현종을 옹립함)을 빌미로 거란 요나라 성종이 40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하자 강감찬의 전략적 후퇴를 받아들여 몽진에 오릅니다. 가는 곳곳마다 지방 호족들이 권력을 이용하여 백성들을 핍박하고 자신들의 권력을 남용하여 자신들의 호위호식에 이용하는 모습에 분노하여 환궁한 뒤에 1차적으로 단행한 정책이 호족세력 철폐였습니다. 이에 여러 신하들이 아니되옵니다를 외쳤으나 끝까지 이를 단행하려는 강한 의지를 내비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