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

분양받은 아파트 중도금 이율이 계속 올라서 고민입니다.

이제 곧 3회차 중도금이 실행되는데 이율이 계속 올라 고민입니다. 앞으로 이율이 더 오를까요? 얼마나 더 오를까요? 떨어질 일은 없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향후 금리인상과 함께 대출금리는 소폭 더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단, 현재 기준금리가 3.25%이고 금통위 위원들이 예상하는 최종금리가 3.5% 전후로 상당히 최종금리에 근접해 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금리가 소폭 더 상승할 가능성은 높으나, 그 수준은 크지 않을 것으로 개인적으로 예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당분간 기준금리를 인상할 기조를 보이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기준금리차가 역전됨에 따라서 내년 상반기에도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몇차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는 등 하기 때문에

      앞으로 0.5~0.75% 사이에서 금리인상을 생각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만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는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환율방어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서는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갈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미국의 경우는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인상을 할 가능성이 높아서 우리나라의 경우도 내년 중반까지는 금리인상을 할 것이라는 예측을 하고 대응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다만 내년은 고금리로 인해서 개인들과 중소건설사, 저축은행들의 부실화가 우려되고 있고 대기업들은 심각한 재고자산이 쌓여있는 상황으로 경기침체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미 연준의 예측대로라면 2023년도 연말에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3%정도에 도달하고 2024년도 상반기에는 목표하는 2%대의 인플레이션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하면서 우리나라의 경우는 2023년 연말부터 금리인하에 대한 이야기를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지금 금리 3.25%에서 최대 1.25%가 더 상승할 가능성을 열어두셔야 할 것 같으며, 금리 인하는 빠르면 2023년도 연말부터 혹은 2024년도 상반기부터 조금씩 인하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2020~2021년 저금리 시기에 분양된 아파트들에서 급격한 금리인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당시 정한 중도금 연체 이율은 대부분 연 5~6%대인데, 은행에서 받는 중도금 대출 금리가 6% 중반을 넘어섰기 때문입니다. 주택 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에 가산 금리를 더해 금리를 정하는데 앞으로 더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