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피부과

호화로운꽃무지225
호화로운꽃무지225

봉와직염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있는데 6일째 항생제를 복용해도 효과가 없어요

집에서만 사용한 녹슨 면도기 사용으로 일주일째 제모한 왼쪽 겨드랑이 부위가 욱신거리고 열이 나더니 전신에 열감이 들어서 정형외과에 갔습니다.

초음파 찍고 봉와직염으로 의심된다는 판정을 받고 파상풍 예방주사, 파상풍 치료주사(녹슨 물건 사용 때문에), 항생제 주사(봉와직염 치료)를 맞았습니다. 그리고 항생제 3일치도 따로 처방받아서 복용 중이었습니다. 처방받은 약 종류는 세파계 항생제랑 소염진통제랑 위장 보호하는 약이었습니다.

항생제 주사 맞고 한 이틀 정도는 살짝 오한이 들었으나 겨드랑이가 이따금씩 욱신거리기만 할 뿐 열은 안 나서 괜찮을 거라 생각했는데

주사 맞고 3일째 되는 날에 목욕하고 나니까(탕목욕 아니고 가벼운 샤워 정도였습니다) 다시 겨드랑이가 화끈거리는 원 상태로 돌아왔습니다.

초음파 받기 전 피 검사를 했는데 그 결과를 들으러 다시 정형외과에 갔습니다.

다른 건 다 정상이고 염증 수치가 평균보다 조금 높은데

염증 수치가 조금 높은 것도 감기 걸리거나 면역력 좀 떨어질 때 그 정도지 걱정할 정도는 아니라고 하셨습니다.

만약 봉와직염이었다면 염증 수치가 훨씬 높았어야할 거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여전히 아프다고 했던 겨드랑이 부위를 직접 보셨을 때도 별 다른 문제가 없고, 열 나고 화끈 거리는 것도 나아지는 과정 중 하나인 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계속 열 나면 응급실로 가라고 하셨습니다.

이전에 먹었던 항생제를 3일치 받았는데 복용 후 오한이 들었다가 더웠다가 반복하면서 겨드랑이 부위는 여전히 욱신거리고 화끈거립니다. 일상생활 못할 정도로 계속 그러는 건 아니나 이대로 방치하면 안 될 것 같아서 걱정됩니다.

1. 집에서만 사용한 녹슨 면도기로 제모 후 왼쪽 겨드랑이가 2주째 계속 열감이 들고 욱신거리면서 아픈 상황입니다. (항생제 복용을 6일째 하고 있으나 효과 없음)

2. 봉와직염으로 의심돼서 항생제 주사를 처방받았으나 피 검사 결과 봉와직염은 아닐 거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봉와직염 증상처럼 해당 부위가 계속 열이 나고 화끈거립니다. 전신은 덥고 오한이 들고 반복이고요... 해당 부위를 육안으로 언뜻 봤을 땐 약간 붉은 듯하나 문제 없는 다른 쪽 겨드랑이랑 비교해보면 별 차이가 없어보입니다.

봉와직염 말고도 2주째 겨드랑이 부위가 욱신거리고 열이 날 수 있는 다른 염증이 있나요?

응급실까지는 가는 게 무리인데 이런 증상이 나타날 때 정형외과 말고 진료 볼 수 있는 다른 병원 없을까요... 아니면 큰 종합병원으로 가야할까요??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봉와직염일 가능성이 있는 증상입니다.

      기존에 처방받은 항생제가 감수성이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다른 항생제를 처방받아 보시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봉와직염은 해당 항생제에 감수성이 있어 6일 사용 후에는 거의 조절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염증수치도 높지 않았도 베인 상처가 있지 않다면 가능성은 떨어집니다. 현재 코로나19가 유행이므로 이로 인해 임파선이 부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코로나19 검사를 해보시고 음성이라면 상급병원에 내원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현재 상태는 봉와직염으로 인한 증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샤워를 하면서 열에 노출되어 염증이 일시적으로 심해졌을 수 있습니다.

      항생제 효과가 없는건 아니고 치료가 되는 과정으로 보입니다. 이번주가 다 지나가고도 증상이 남아있다면 정형외과 다시 방문해서 경과 확인 및 항생제 변경이 필요한지 확인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결국 세균감염 외에는 특별히 의심되는 상황은 아닌것 같습니다. 먹는 항생제에 효과가 떨어지니다면 다른 항생제로 교체를 해봐야 됩니다. 아니면 주사 항생제를 당분간 맞아야 될 수도 있구요. 내과로 가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