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배분시 왜 상관성이 낮은 자산들에 투자하라고 하나요?
자산배분투자를 할 경우 상관성이 낮은 자산들에 배분하라고 합니다. 그런데 상관성이 낮다는 것은 어떤 의미이며 왜 상관성이 낮은 자산들로 배분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포트폴리오 구축 시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들로 구성해야 하는 이유는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자산들로만 구성된 포트폴리오는 포트폴리오 내의 각 자산들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전체 포트폴리오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즉, 포트폴리오가 너무 집중되어 있으면, 특정한 시장 상황에 따라서 전체 포트폴리오가 큰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각 자산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전체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이렇게 분산시킨 포트폴리오는 특정한 시장 상황에도 안정적으로 운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전체 포트폴리오의 예상 수익률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들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는 서로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전체 포트폴리오의 예상 수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포트폴리오 구축 시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들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분산시키고 예상 수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의 배분시 상관성은 본인 선택이며 누구 말이 정확한건 없습니다.
하지만 그 이유를 예측해보자면 주식 투자에 모든 자산을 배분하면 지금같은 경기가 안좋은 시기에 자산의 가치가 폭락하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배분을 한다는 것은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는 것인데, 자산관련성이 낮은 포트폴리오 항목을 구성하라는 이유는 관련성이 높은 것들로만 구성을 한다면 해당 섹터가 상승하거나 혹은 하락하는 것이 동일하게 연관을 미치기 때문에 결국 해당 자산전략은 '하나의 섹터'에 집중투자하는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럼 위험분산을 목적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투자가 위험성을 하나의 섹터에 모으는 것이 되다 보니 전혀 위험분산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관련성이 낮은 자산들 위주로 투자를 분산하게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100만원의 자금을 투자하는데 50만원은 테슬라에 30만원은 LG이노텍에, 20만원은 에코프로비엠이라는 곳에 투자를 한다면 결국 이 3곳 모두 '테슬라'에 납품하는 '전기차'섹터에 포함되기 때문에 위험분산이 되지 않는 것이 됩니다. 그럼 테슬라의 움직임에 따라서 동일한 움직임을 보이면서 위험분산을 할 수 없는 자산전략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관관계가 낮다는 것은 한 자산이 상승한다면
다른 자산이 이에 대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에 투자하여 리스크를 줄이기 위함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 간의 상관관계가 낮다는 것은 시장 이벤트에 반응하여 같은 방향으로 또는 같은 정도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에 배분함으로써 투자자는 잠재적으로 전체 포트폴리오 위험을 줄이고 다각화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한 자산군의 손실을 완화하고 다른 자산군의 이익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은 시장 움직임에 다르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어 한 자산군의 잠재적 손실에 대한 헤지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