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이번에 주식시장이 급 폭락을 했네요~

이번주 미국시장과 아시아 주식시장이 급 폭락을 했습니다~경기침체가 올거라는 징조일까요 아니면 일시적은 조정장의 모습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최현빈 경제전문가
    최현빈 경제전문가
    경제연구소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경기침체가 올것이라는 의견이 강하고 실제로 올것으로 보입니다.

    • 따라서 일시적인 하락이라기 보다는 꾸준한 하락인 하락장이 시작되었다고 생각됩니다.

    • 이에 따라 주식을 일부 정리하는 것도 좋아 보이는 것이 지금보다 더욱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기에 현금을 확보하야 저가매수 시기를 노려보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7월 중순 이후 나스닥이 거의 "11%"가까이 하락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동안 나스닥 시장이 급격하게 상승 하는 와중에 잠깐 숨고르기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의 하락은 분명히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와 일본금리 상승 그리고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복합적으로 시장에 반영 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과 아시아 주식시장이 급락한 이유는 금리 인하 속도가 예상보다 느려지면서 투자자들이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전문가들은 현재 주식시장이 거품이 커져서 곧 폭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런 요인들 때문에 시장이 불안정해졌고, 일시적인 조정일 수도 있지만 경기 침체의 징조로 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경기침체 우려와 시장에서는 일본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엔화가 쌀 때 엔화를 빌려 미국에 투자했던 '엔 캐리' 자금이 이탈하면서 증시 폭락이 가속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 이것이 단기에 해소될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지난 금요일 밤 미국의 실업률 마져 4.30프로로 높게 나오면서 경제지표들이 일제히 경기침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미국은 9월 FOMC 에서 기준금리를 50비피 인하하는 빅컷을 할거로 예상되어집니다

    단기로는 아무래도 주식시장에 악영향이 오겠지만 그래도 기달려볼만한 장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번 주 미국과 아시아 주식시장의 급락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경제 지표 악화로 최근 발표된 고용지표와 제조업지수가 예상보다 부진하게 나오면서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졌고, 중앙은행들의 금리 인상 기조가 지속되면서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었습니다. 높은 인플레이션이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국제 정세의 불안정성도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일부 기업들의 실적이 예상에 미치지 못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이 반드시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이어질 것이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습니다. 주식시장은 단기적으로 과민반응을 보일 수 있으며, 이번 하락이 일시적인 조정 과정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변동성을 감안하여 신중하게 접근하고, 장기적인 투자 전략을 유지하며, 경제 지표와 정책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 침체 가능성에는 고금리가 계속되는 상황, 지정학적 리스크, 미국 경제 둔화, 기업 실적 부진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고금리는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지속적으로 금리를 인상하면서 기업들의 투자와 소비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지정학적 리스크는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미중 갈등 심화 등으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 둔화는 글로벌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를 확산시키며, 고금리와 공급망 차질 등으로 기업 실적이 부진해져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습니다.

    한편, 일시적인 조정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유동성 공급 확대 등으로 주식 시장이 과열된 측면이 있으며, 이로 인해 조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백신 개발과 경제 재개 등의 긍정적인 요인들은 경기 회복을 이끌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각국 정부의 경기 부양 정책 변화에 따라 시장이 반응할 수 있습니다.

    현재 상황을 단정적으로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경기 침체와 일시적 조정 가능성이 동시에 존재하며, 시장 상황은 다양한 변수에 따라 빠르게 변화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장기적인 관점을 유지하고, 분산 투자와 꾸준한 정보 습득을 통해 리스크를 줄여야 합니다. 또한 감정적인 투자를 피하고 신중한 판단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로 인플레이션, 지정학적 리스크,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출현 등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론 일시적인 조정장이라고 생각합니다.

    호황과 불황 사이 조정장은 불가피한 것이기도 하며, 향후 금리인하를 비롯한 호재들도 아직 건재한 상태로 조정장이 아닐까 예측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7월 고용지표가 예상 밖으로 크게 냉각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오전 장중 급락세를 나타냈습니다. 나스닥 지수는 지난달 고점(18,671.07) 대비 10% 넘는 낙폭을 기록하며 기술적 조정구간에 진입했습니다. 평균 수준을 크게 밑돈 고용 증가세와 예상 밖 실업률 상승으로 시장에서는 미국 경기가 애초 예상했던 것보다 빠른 속도로 식어가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이번 주식 시장 폭락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번 폭락은 경기침체의 전조라기 보다는

    다른 지수들 (ISM 지수, 실업률) 등이 경기침체를 예견하고 있기에

    그에 대한 반응으로 폭락이 된 것으로

    일시적인 조정은 아닌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 AI에 대한 버블 우려, 몇몇 기업들의 실적 부진, 부정적인 고용과 경제지표 등으로 큰 하락을 하고 있는데요.

    이것만으로 본격적인 경기침체가 올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아니라고 단정하기도 어려운 상황인 것 같습니다. 물론 그간 많이 상승했으니 조정이 있을 법 하다고도 생각하는데요.

    우선은 너무 큰 우려를 하며 패닉셀하는 것은 좋지 않을 것 같고, 상황을 지켜보며 조금씩 매매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은 평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