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인하가 한국산 자동차 수출에 미치는 실질적인 효과는?
미국 관세 인하로 인해 한국산 자동차의 가격 경쟁력과 미국 내 판매량 변화 등이 어떻게 나타날지 분석해 주실 수 있는지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자동차 수출은 가격 민감도가 꽤 높은 품목이라 관세 인하가 실제로 체감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미국처럼 대형차 위주의 시장에서는 관세가 조금만 내려가도 수천 달러 단위 가격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구매자 입장에선 매력도가 확 올라갑니다. 우리나라 완성차 브랜드가 이미 인지도와 품질 면에선 인정받고 있는 상황이라, 가격 부담만 줄어들면 판매량이 단기적으로 반등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실제로 처리해봤을 때는, 관세 인하 시점 직후 물량 확대나 마케팅 강화 전략이 동시에 움직이면서 수출 증가세가 가시화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다만 수익성 측면에서는 단순 가격 인하로 이어질 수도 있어, 마진 관리가 관건이 될 수 있습니다. 업계 흐름으로 보면 환율, 인센티브 정책 등 다른 변수도 겹치기에 단편적 분석은 조심스럽지만, 구조적으로는 미국 내 입지 강화 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관세를 낮추면 한국산 자동차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판매 증가가 예상됩니다. 다만 우리나라 제품에 대해서만 특별하게 관세인하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점과, 관세협상을 하는 주요 자동차 수출국의 관세율을 비교하였을 때는 상대적인 판매 증가가 클 것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한국의 자동차는 다른 국가의 자동차에 비하여 경쟁력을 일부 잃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일본, EU는 모두 기존에는 관세 2.5%를 납부하고 있었고 한국은 0%를 FTA를 통하여 적용받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번조치로 모든 국가의 자동차에 대하여 일괄 15%가 적용될 것이기에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손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관세율이 15%로 인하되면 수입가격이 줄어들어 자동차 판매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일본·독일산 등과 비교한 경쟁력이 회복됩니다. 우리 나라는 2024년 기준 미국 내 판매량 170만 대 이상 판매했으며, 이 중 약 70만 대를 한국산 수출분이 차지했습니다.
관세 인하는 결과적으로는 한국산 차량의 미국 내 수입 부담 감소, 그리고 이미 진행 중인 현지 생산과 투자 전략의 효과 극대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