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신속한까마귀285
신속한까마귀28524.04.12

비가 많이 올때 하늘에서 번개나 벼락이 떨어지는 이유가 먼가요?

한여름에 비가 많이 오면 하늘에서 번개나 벼락이 떨어지는데 번개나 벼락은 어떤 원리로 인해서

생기게 되는 걸까요? 그리고 비가 안올때도 번개가 치는데 그건 왜? 그런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의 경우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고 대기가 불안정합니다. 이에 따라 뇌운이 형성될 확률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천둥 번개가 동반하는 비가 많이 내리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구름 내부에서 전하가 불균형하게 분리되면서 발생하는 전기 방전 현상입니다. 구름 속에서 상승하는 따뜻한 공기는 물방울을 운반하며, 이 과정에서 물방울은 서로 부딪히면서 전하를 잃거나 얻게 됩니다. 이렇게 음전하들은 구름 밑부분에, 양전하들은 구름 윗부분에 집중되면서 전위차가 형성됩니다. 전위차가 수백만 볼트 이상으로 커지면 공기가 전기적으로 절연 상태를 벗어나 번개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비가 오는 날뿐만 아니라, 구름이 충분히 발달하고 전하 불균형이 형성될 경우 언제든지 번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 안에 있는 물방울과 작은 얼음들은 서로가 부딪치며 마찰을 일으킵니다. 이러한 마찰로 얼음은 물에 전자를 빼앗긴 채 더욱 높은 곳으로 상승하게 되는데요, 바로 그 순간 뇌운(번개구름)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구름 위쪽은 양전하를 갖게 되고 구름 아래쪽은 음전하를 띠게 되는데, 서로 다른 전하를 띤 두 구름이 만나 일순간 강력한 전기를 만들어내는 것을 두고 우리는 번개라 부르죠. 바로 이렇게 뇌운의 전하가 방전되는 순간 밝게 비치는 불빛을 번개라 부르는 겁니다. 뇌운의 전하가 방전되는 이 같은 현상을 ‘뇌방전’이라 부르는데, 대지로 전하를 방출해 땅에 떨어지는 것은 낙뢰라 부르고 뇌운 안에서 일어나는 것은 운내방전, 뇌운과 다른 뇌운 사이에서 일어나는 것은 운간방전, 뇌운과 주위 대기 사이에 일어나는 것을 대기방전이라 부릅니다.

    출처 : 비 오는 날 천둥·번개가 생기는 이유 - 환경교육 통합플랫폼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많이 오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대기 중 수증기가 응결되어 구름이 형성되고, 구름 안의 물방울이 충돌하거나 응축하여 비로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번개와 벼락은 구름 내부에서 양의 전하와 음의 전하가 분리되어 발생하는 정전기적 현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전하의 분리는 대기 중의 물방울이 충돌하거나 얼음 결정이 서로 부딪히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안 오더라도 공기 중에 가득한 습기로 인해 방전현상으로 번개가 칠 수 있습니다. 이를 마른번개 또는 날벼락 이라고 부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나 벼락은 대기층의 강력한 수분을 머금은 구름층이 부딪혀서 생기는 자연현상인데요. 구름이 머금은 에너지가 클수록 그 번개나 벼락의 위력이 더 강하게 표출되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벼락

    [명사] 공중의 전기와 땅 위의 물체에 흐르는 전기 사이에 방전 작용으로 일어나는 자연 현상.

    {표준국어대사전}

    천둥과 번개 중 벼락은 어느 쪽에 가까운 느낌이 드나요? 아무래도 번개와 가까운 느낌이 듭니다. 위에서 봤듯 천둥은 청각에 의미를 더 두고, 번개는 시각에 의미를 더 두기 때문인데요. 사실 번개와 벼락은 크게 다르지 않기도 합니다. 그럼 두 현상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먼저 번개가 생기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 adobe stock



    벼락과 번개가 일어나는 이유

    사전적 정의에서 보듯 번개는 하늘에서 일어나는 방전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구름 속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라고 볼 수 있는데요.

    번개는 보통 적란운이라 부르는 수직으로 높게 솟은 구름과 함께 일어납니다. 이 적란운의 내부에는 작은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 먼지 등이 존재하는데요. 이것들이 서로 부딪히면 전하가 발생하게 됩니다.

    적란운은 대체로 상층부에는 양전하(+) 하층부에는 음전하(-)가 모이게 되는데요. 마찰로 인해 작은 물방울은 음전하로, 주변 공기는 양전하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상층부와 하층부의 전위차(전기량을 옮기는 데 필요한 두 점 사이의 전압의 차)가 커지게 됩니다.

    이 전위차가 일정 수준을 넘게 되면 순간적으로 전류가 흘러 방전이 일어나는데 이것이 바로 번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