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높이에 따라 생기는 구름의 모양이 다를까요?

안녕하세요 하얀도화지입니다.

땅에서 보면 하늘 위의 구름은 다 같은 높이에 있는 것 같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제각기 다른 높이에 구름이 위치해 있다고 하는데

높이에 따라 생기는 구름의 모양이 다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저고도구름은 지상에서부터 약 2km정도 까지이며 크게 층우(낮고 평평하며, 보통 덩어리 모양으로 보이는 구름으로 흔히 하늘에서 솜사탕 같은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이 구름은 공기가 따뜻해져 상승하면서 형성되며, 주로 맑은 날씨에 나타납니다.), 층적운(낮고 넓게 퍼져 있는 구름으로, 하늘을 덮으며 얇고 둥근 형태를 가집니다. 보통 흐린 날씨에 나타나며, 하늘을 거의 완전히 덮을 수 있습니다.)의 형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중고도 구름은 2~6km정도이며 고적운(보통 작고 둥글둥글한 구름들이 모여 나타나는 형태로 구름이 비교적 높은 고도에서 발생하며, 물결모양을 이루기도 합니다. 햇빛이 강한 날에는 구름 사이로 빛이 비쳐 독특한 그림자를 만듭니다.), 고층운(넓고 얇게 퍼진 구름으로, 하늘을 덮으며 태양이나 달을 희미하게 보이게 합니다. 주로 비나 눈이 내리기 전에 나타납니다.)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고도구름은 6km이상이며 권운(매우 높은 고도에서 형성되는 가늘고 긴, 실같이 생긴 구름이며 보통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날씨가 맑고 건조할 때 나타납니다.), 권적운(작은 구름 덩어리들이 모여 나타나며, 하늘에 잔물결 같은 패턴을 만듭니다. 권운보다 약간 낮은 고도에 있지만 여전히 매우 높게 위치해 있습니다.), 권층운(넓고 얇은 구름이 하늘을 덮으며, 해무리 달무리를 만들어내는 곳입니다)으로 나눌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