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짙푸른보석새82
짙푸른보석새82

western blot 할때 wash buffer 로 PBS-T 또는 TBS-T 를 사용하는데 각각 사용시 차이점이 있을까요

western blot 실험 시 blocking 후 membrane 을 washing 할때, TBS, 또는 ㅖPBS-T buffer로 washing 해주라고 매뉴얼에 나와있는데요, 각각의 버퍼를 사용했을때, 웨스턴 블랏의 효율에 차이가 있을까요? 있다면 어느쪽이 더 효율이 좋다고 말할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웨스턴 블랏 실험에서 blocking 후 membrane washing에 사용되는 버퍼로 TBS(Tris-Buffered Saline) 또는 PBS-T (Phosphate-Buffered Saline with Tween-20)가 주로 사용됩니다. 두 버퍼 모두 특정 이온 세기와 pH를 유지하여 항체와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최적화하고, Tween-20은 비특이적인 결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각 버퍼 사용 시 효율 차이를 물어보셨는데, 일반적으로 두 버퍼 모두 웨스턴 블랏 실험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즉, 특정 버퍼가 항상 다른 버퍼보다 월등히 효율적이라고 단정해서 답변드리긴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실험 조건 및 항체 종류에 따라 효율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특정 항체는 TBS 버퍼에서 더 잘 작용할 수도 있고, 다른 항체는 PBS-T 버퍼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일 수도 있습니다. 즉, 버퍼의 구성 성분(염 농도, pH 등)에 따라서도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효과적인 버퍼를 고른다면 먼저, 해당 항체에 대한 권장 버퍼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제조사에서 해당 항체에 최적화된 버퍼 조건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만약 제조사의 권장 버퍼가 없다면, 일반적으로 PBS-T가 더 많이 사용하는 편인데, PBS-T가 다양한 종류의 항체와 단백질에 대해 비교적 안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기 때문이죠.

  • Western blot에서 PBS-T와 TBS-T를 사용할 때 효율 차이는 주로 항체와 항원 사이의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집니다. PBS-T는 인산염 기반, TBS-T는 트리스 기반 버퍼로, 사용 환경에 따라 적합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인산염 기반의 PBS-T는 인산에 민감한 단백질이나 항체를 사용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고, 특히 인산화된 단백질을 다룰 때는 TBS-T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큰 차이가 없을 때도 있지만, 특정 단백질에 따라 민감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western blot에서 PBS-T와 TBS-T의 차이를 간단히 말씀드릴게요.

    PBS-T

    - pH: 7.4로 생리적 pH에 가까워서 단백질이 안정적입니다.

    - 비특이적 결합 감소: 이온 강도가 적당해 비특이적 결합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TBS-T

    - pH: 약간 알칼리성(7.5~8.0)으로, 특정 단백질에 더 좋을 수 있습니다.

    - 전기적 특성 조절: 일부 단백질은 알칼리성 환경에서 더 잘 반응할 수 있습니다.

    효율 차이

    - 사용하는 단백질과 항체에 따라 어느 쪽이 더 효과적인지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두 버퍼 모두 비특이적 결합을 줄이지만, 실험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최적의 결과를 위해 두 버퍼를 모두 사용해 보는 것이 좋을거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