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진기한황새230
진기한황새230

요즘 가구에 전력 공급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옛날에는 서울에도 전봇대가 많아서 전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 같은데 요즘은 전봇대가 거의 없더라고요! 요즘 가구에 전력 공급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현대의 많은 가구는 지중 배전 방식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습니다. 이 방식은 전선을 지하에 설치하여 전력 공급을 진행하는 것으로, 주로 도시 지역에서 쓰입니다. 때문에 전봇대를 찾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지중 배전은 미관상 장점이 있으며, 전선이 노출되지 않아 안전성도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설치와 유지보수에 있어서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주로 인구 밀집 지역에 적용됩니다. 반면, 아직도 일부 농촌 지역이나 소규모 도심 외곽지역에서는 기존 전봇대를 통한 공중 배전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요즘 가구에 전력 공급은 주로 지중 전선망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과거에는 전봇대가 많아 전선이 공중에 노출되었지만, 최근에는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지중화 작업이 진행되어 전선이 지하로 매설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미관이 개선되고, 자연재해나 사고로 인한 전력 공급 중단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전력은 변전소에서부터 가정에 이르는 과정에서 전압을 변환하며, 전기 meters를 통해 각 가구에 정확한 전력 사용량을 기록하고 공급합니다. 지중화된 전선망은 고장이 발생하면 수리도 용이하며, 전력 공급의 안전성을 높여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서울에서도 전봇대를 통해 공중에 설치된 전선을 이용해 전력을 공급했지만 요즘은 대부분 지중화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전력을 지하에 매설된 전력선로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도심 미관을 개선하고 날씨 영향을 줄여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따라서 현대 가정에서는 지하 전력망에서 분기된 전선이 건물 내부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요즘 가구에 전력 공급은 주로 지중화된 전력선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도시 미관 개선과 안전성 향상을 위해 전선의 지중화가 점차 확대되었습니다.

    전선을 땅속에 묻는 방식으로 도시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며, 지중화된 전력 구간에는 변압기와 개폐기 등이 포함된 패드가 설치되어 전력을 제어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농천인 개발이 덜 된 지역에서는 전봇대와 송전탑을 통한 공중 송전 방식이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