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수줍은수염고래77
수줍은수염고래77

폐가 부풀어있지않고 눌러붙었다네요

성별
남성
나이대
73
기저질환
고혈압 당뇨 류마티스 고지혈증
복용중인 약
고혈압 당뇨 류마티스 고지혈증

이틀전에 동네벼원에서 엑스레이찍었는데 하얗게 보인다고 폐에 물찻다고 문의드렸는데 어제 조금큰병원 가서 오늘 시티찍었는데 폐가 부풀어잏지않고 눌러붙었다네요

콩팥이 안조아서 조형술은 못햏다하시고

암인지 먼지알려면 조형술해야된다하셨디는데

ㅜㅜ 1주일 약만 받아오시고 그냥 이렇게 사셔야 한다네요

그리고 이전 폐 사진있으면 받아오라하셨어요

연세가있으시니 자세히 물어보고 이해하시진 못하신거같아요

제가 못가서 답답해서 올립니다


큰병인지 치료안되는지요ㅜ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무기폐(atelectasis) 를 진단 받으신 것 같습니다.

      폐는 마치 풍선과 같이 공기를 품고 팽창되어 있어야 하는 장기입니다. 어떠한 이유에 의해서 폐의 일부가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부피가 줄어 쭈그러든 상태(이를 ‘허탈’이라고 함)를 무기폐라고 합니다. 무기폐는 질환이라기보다는 다양한 병(폐렴, 기관지염과 같이 분비물이 많이 생성되는 모든 폐 질환, 혹은 기관지 내에 생긴 결핵이나 폐암과 같이 물리적으로 기관지가 막혀 하부의 폐조직이 허탈되는 질환 등)이나 수술 후 통증, 혹은 장기간의 침상 안정에 의해 깊은 숨을 쉬지 못하여 호흡기 분비물에 의해 기관지가 폐쇄되어 하부의 폐조직이 허탈되는 경우 등 여러 상황에서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무기폐에 대한 진단, 치료 등은 원인 질환에 따라 아주 상이합니다. 이를테면 수술 후 호흡을 깊게 하지 못해 생긴 무기폐라면 통증조절을 하고 심호흡, 기침을 하여 분비물을 잘 뱉도록 하는 것이 치료가 되는 것입니다. 만약 기관지에 생긴 폐암이나 기관지결핵과 같은 병으로 기도가 막힌 경우라면 해당 질환에 대한 전신적인 치료가 곧 무기폐의 치료가 되겠습니다.

      무기폐의 원인>

      기관지(폐에서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가 폐쇄되거나, 깊게 숨을 쉬지 못하는 상황이 성인에서 무기폐를 발생시키는 주된 원인입니다. 기관지가 폐쇄되는 것은 다양한 폐질환에 의해 기관지에 생성된 분비물이 기도를 막았기 때문일 수도 있고, 종양(신체 조직이 만든 덩어리를 말하는데 양성일 수도, 악성일 수도 있다. 악성인 경우 암이라고 부름), 혹은 이물질이 기도를 막았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깊게 숨을 쉬지 못하는 것은 수술 후에 가장 흔히 겪게 됩니다. 전신 마취 상태에서 흉부나 복부 수술을 받는 경우 무기폐가 일어나기 쉬운데, 이는 수술을 위해 절개한 부위의 통증 때문에 숨을 깊게 쉬기 어렵기 때문이다. 장시간의 침상 안정(특히 자세를 바꾸지 않고 얕은 숨을 쉬는 상황), 갈비뼈의 골절과 같이 흉부를 다쳤을 때에도 얕은 숨을 쉬게 되어 무기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기폐가 중요한 이유는 폐로 들이마시는 공기의 흐름이 얕아지면서 폐의 분비물이 축적되고, 이것은 결과적으로 감염을 초래하기 때문입니다.

      무기폐의 진단검사>

      가슴 X선 촬영은 폐가 팽창을 잃고 쪼그라든 부분(허탈)을 음영(X선 촬영 사진에서 하얗게 보임)으로 보여준다. 큰 부분을 차지하는 무기폐라면 기도나 횡격막, 심장 등이 폐의 허탈이 있는 쪽으로 쏠려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컴퓨터 단층촬영(CT)은 이러한 흉부의 상태를 더욱 자세히 볼 수 있게 해줍니다.

      기관지 내시경은 무기폐가 기관지의 폐쇄에 의한 것으로 의심되는 상황에서, 기관지 폐쇄가 생긴 원인을 모를 때, 시행하는데, 기관지를 막고 있는 것이 종양인지, 이물질인지, 또는 다른 어떠한 것인지 알 수 있게 해줄수 있습니다.

      무기폐의 치료>

      급성으로 생긴 무기폐라면 원인을 제거하여 치료합니다. 기침, 기관지 분비물의 흡입, 기관지 내시경 등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기관지 분비물에 의한 무기폐라면, 이물질을 잘 배출할 수 있도록 특정한 자세를 취하게 하고 환자의 등을 두드려 주는 것도 효과가 있습니다. 다. 합병증으로 감염이 생겼다면 항생제 치료를 시행해야하며, 늑막강에 공기나 액체가 차서 외부에서 폐를 압박하여 생긴 무기폐라면 원인이 된 액체나 공기를 흉강천자 혹은 흉관 삽입으로 제거해주기도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직접 진료를 하신 내용이면 말씀하신 내용으로 짐작은 되지만 어떤 내용인지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호흡기내과 진료를 받아서 정확하게 진단을 받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말씀하신 조금 큰 병원에서 진료 받은 것이 호흡기내과인지 아닌지 알기가 어렵습니다.

    •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저도 잘 이해가 되지 않는데...

      보호자 분이나 어르신의 경우는 아주 답답하실 듯 합니다

      바쁘시겠지만. 같이 내원하셔서 설명을 들어보시는 것이 맞을 듯 합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기원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는 증상 만 들어서는 알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Chest CT 를 확인해야 이전에 이미

      앓았던 늑막 유착인지 혹은 최근에 생기고 있는 질병인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호흡기내과

      진료를 통해 폐 CT 결과를 다시 들어 보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무기폐가 있다는 이야기네요...근데 그렇게 눈에 띌 정도면 기관지를 뭐가 막았을 가능성이 있을 것 같은데요...

      글쎄요 반드시 필요하면 조영술 하고 투석하면 됩니다

      뭔가 교수님들이 적극적으로 하려하지 않으시고 계시네요 검사의 위험성때문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