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길쭉한뻐꾸기138
길쭉한뻐꾸기138

데자뷰 현상이 과학적으로 설명 가능 할까요?

데자뷰 현상이 과학적으로 설명 가능할까요?


어느날 문득 태어나서 처음겪고 있는 일이 확실한데 완벽하게 똑같은 일을 이미 겪었다고 느낄때가 있습니다.


시간과 장소 타이밍 일어나고 있는 일까지

똑같은 일을 겪고 있는 겁니다.


지금 시간 속에 현재 미래 과거가 같이 흐르고 있다는 말이 사실 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신기한친칠라145
    신기한친칠라145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처음 가본 곳인데 이전에 와본 적이 있다고 느끼거나 처음 하는 일을 전에 똑같은 일을 한 것처럼 느끼는 것이다. 살아가다 보면 자신이 지금 하고 있는 일이나 주변의 환경이 마치 이전에 경험한 듯한 느낌이 들 때가 있다. 대부분 꿈속에서 본 적이 있는 것 같다고 말하는데 이것을 데자뷔 현상이라고 한다.


    또 다른 학설은 무의식에 의한 행동이나 망각된 기억이 뇌에 저장되어 있다가 그것이 유사한 경험을 만났을 때, 되살아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사람의 뇌는 엄청난 기억력을 가지고 있어서 스치듯이 한번 본 것도 잊어버리지 않고 차곡차곡 뇌세포 속에 저장하는데, 이런 세포 속의 정보들을 모두 꺼내는 것은 아니고 자주 보고 접하는 것들만 꺼내본다고 한다. 하지만 뇌는 훨씬 많은 것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무의식중에 했던 일을 다시 하거나 방문했던 곳에 갔을 때, 처음 하는 일 같은데 아련히 똑같은 일을 한 것처럼 느끼는 것이다.


    1900년 프랑스의 의학자 플로랑스 아르노(Florance Arnaud)가 처음 이러한 현상을 규정하였고, 이후 초능력 현상에 강한 관심을 갖고 있던 에밀 보아락(Emile Boirac, 1851∼1917)이 처음 데자뷔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다. 보아락은 데자뷔 현상의 원인을 과거의 망각한 경험이나 무의식에서 비롯한 기억의 재현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데자뷔 현상은 그 자체로서 이상하다고 느끼는 뇌의 신경화학적 요인에 의한 것이라고 그는 해석한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까지는 해당 현상은 과학적으로 검증이 불가능합니다.

    단, 데자뷰 현상 자체가 기억의 오류에 의해서 발생된 것으로 우선은 추측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데자뷰는 뇌의 기억에서 오는 착각 같은 건데요

    기시감은 기억 회로의 실수로 발생합니다

    측두엽은 과거에 경험한 것들에 대한 기억과 감정을 불러오는 역할을 한다. 이 부위가 예상치 못하게 작동하면 잘못된 기억이나 '가짜 익숙함'을 불러온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데자뷰 현상은 과학적으로 여러 가설로 설명되고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가설 중 하나는, 데자뷰가 기억과 관련이 있다는 것입니다. 즉, 뇌가 과거에 이미 경험한 상황을 현재에 적용하려고 할 때, 데자뷰가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이 가설은 뇌가 기억을 처리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으며, 뇌의 기억 처리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면서 데자뷰가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다른 가설로는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가 잘못 전달되어 일어난다는 것이 있습니다.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는 중요한 정보를 처리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가 잘못 전달되어, 뇌가 이미 처리한 정보를 다시 처리하면서 데자뷰가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그 외에도, 뇌의 특정 부위에서 일어나는 활동이 데자뷰를 유발할 수 있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뇌의 특정 부위에서 활동이 일어나면서, 지금 일어나는 상황과 비슷한 상황을 뇌가 기억하게 되면서 데자뷰가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데자뷰현상은 자신의 경험중에서 비슷한 상황을 다시한번 경험하고 그 상황에 투영해 같은일이 반복되었다고 생각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같은 동일패턴의 생활을 하거나 경험이많은 나이가어느정도 있는 사람들이 잘 겪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또한 사실 완벽 같지 않은데 기억왜곡에의해 비슷하다고 뭉뚱그려져 인식하는 경항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데자뷰는 뇌의 정보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 또는 오류로 설명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정보가 정확하게 처리되지 않아 현재 경험과 이전 경험이 혼동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아직까지 데자뷰의 정확한 원인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데자뷰는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으로서 다양한 요소와 상황에 따라 발생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연구와 조사를 통해 이해를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