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과학에서 엠펨바 효과라는 것이 있다고 하는데 어떤 현상인가요?
과학계에서 엠펨바 효과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유투브 영상을 통해서 알게 되었는데
이런 엠펨바 효과라는 것은 어떤 자연 현상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반갑습니다.
엠펨바 효과란 같은 냉각 조건에서 높은 온도의 물이 낮은 온도의 물보다 빨리 어는 현상으로, 1963년 탄자니아의
에라스토 음펨바(Erasto B. Mpemba)가 처음 발견했다고 해서 붙은 명칭입니다.
엠펨바 효과가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해 다양한 가설들이 등장합니다.
가장 먼저 기화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뜨거운 물이 차가운 물보다 빨리 증발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같은
양일지라도 증발이 많은 뜨거운 물이 차가운 물보다 더 빨리 언다는 식입니다.
대류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뜨거운 물의 경우 외부에 접한 위쪽 물이 식으면서 안쪽의 물과 온도차가 커진다.
때문에 뜨거운 물은 차가운 물보다 대류현상이 더 활발하게 일어나 바깥으로 열을 더 빨리 빼앗긴다는 것입니다.
이 외에도 물에 녹아있는 용해 기체 때문이라는 주장도 제기됐고 뜨거운 물이 차가운 물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얼기 때문이라는 과냉각 현상으로 설명하는 이론도 등장했습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이 가운데 어느 게 맞다를 확연하게 가려줄 결정적 증거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