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백색왜성은 전부 백색을 띠고 있나요?

태양 같은 별은 결국 생명을 다하게 되면 모든 가스를 잃고 남은 핵융합 연소 결과물인 산소와 탄소가 모여 백색왜성이 된다고 하는데요. 백색왜성은 전부 백색을 띠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태양과 같은 별은 생명을 다하게 되면 모든 가스를 잃고 남은 핵융합 연소 결과물인 산소와 탄소가 모여 백색왜성이 됩니다. 백색왜성은 전부 백색을 띠고 있지는 않습니다. 실제로는 백색왜성의 색깔은 다양합니다. 그리고 백색왜성의 색깔은 나이와 온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백색왜성이 전부 백색을 띠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백색왜성은 핵융합 연소가 끝난 후에도 여전히 매우 뜨거운 상태이기 때문에 백색을 띠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후에는 온도가 점점 낮아지면서 빨간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백색왜성의 생명 주기 중 일부분이며 우주에서는 매우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저희는 백색왜성에 대해 아직 많은 것을 알지 못하고 있지만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가 우주의 형성과 진화에 대해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백색왜성이라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모든 백색왜성이 백색을 띠는 것은 아닙니다. 백색왜성의 색은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온도가 높을수록 푸른색에 가까워지고 낮을수록 붉은색에 가까워집니다. 대부분의 백색왜성은 뜨겁기 때문에 푸르거나 청백색을 띠지만, 찬 백색왜성은 붉거나 황갈색을 띠기도 합니다. 따라서 백색왜성이라는 이름은 색깔보다는 밀도가 높고 빛을 내는 별이라는 의미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백색왜성은 주로 백색에서 주황색의 색깔을 띠며, 이는 빛의 파장이 긴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백색왜성은 주로 중간 이하의 질량을 지닌 별들이 진화 끝에 도달하는 종착지입니다. 백색왜성은 크기는 작지만 매우 고밀도의 천체입니다. 지구 정도의 크기밖에 되지 않는 백색왜성의 무게가 태양과 비슷하기도 합니다. 다만 백색왜성에는 무게의 한계가 있습니다. 이 한계를 찬드라세카르 한계라고 부르는데, 백색왜성이 가질 수 있는 최대 질량이 태양 질량의 1.44배라고 합니다. 그보다 질량이 높을 경우에는 백색왜성이 불안정적인 상태가 되어 대폭발을 일으킵니다. 흑색왜성은 백색왜성이 아주 오랜 기간동안 식은 후에 더 이상 빛을 내지 않는 상태로 남겨진 항성 잔해를 말합니다. 흑색왜성은 현재 실존하지는 않지만 미래를 예측한 가상의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백색왜성은 매우 뜨거운 표면 온도 때문에


      백색을 띄고 있습니다.


      백색왜성의 표면 온도는 수만 켈빈에 달하며


      이는 태양 표면 온도(약 6,000 켈빈)보다


      훨씬 뜨겁습니다.





      뜨거운 물체는 흑체 복사라는 과정을 통해 빛을 방출합니다.



      흑체 복사 스펙트럼은 물체의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백색왜성의 경우 푸른색에서 붉은색까지 모든 파장의 빛을 방출합니다.









      인간의 눈은 푸른색에서 붉은색까지 모든 파장의 빛을 혼합하여 백색으로 인식합니다.




      백색왜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어가면서 색상이 변합니다.



      뜨거운 백색왜성은 푸른색에 가깝고, 식은 백색왜성은 붉은색에 가깝습니다.





      또한, 백색왜성의 표면에 헬륨이나 수소가 존재하는 경우 색상이 변할 수 있습니다.




      백색왜성은 매우 밀도가 높습니다. 태양과 같은 질량의 백색왜성은 지구 크기 정도로 압축됩니다.





      백색왜성은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일으킬 수 없습니다.

      백색왜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식어가면서 흑색왜성이 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마음에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중심부의 별이 수축하여 밀도가 높아지면 전자들 간의 간격이 너무 좁아져서 축퇴되게 된다. 이렇게 별 전체가 전자의 축퇴압에 의해 유지되는 별은 표면온도가 대단히 높아 흰색으로 보이고 그 크기는 작기 때문에 백색왜성이라 불린다.

      출처 : 천문우주지식정보 - 항성의 죽음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백색왜성은 주로 백색을 띠고 있지만, 때때로 약간의 다른 색조를 띠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약간의 노란색이나 파란색을 띠기도 합니다. 이는 백색왜성의 온도와 화학 구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는 주로 백색을 띠고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