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가지런한오소니23
가지런한오소니23

국내외 반도체 전망은 어떤가요?

작년 초까지만 하더라도 서버 증설 등의 기대 효과와 더불어 반도체 칩 부족까지 나타났었는데, 1년 사이에 상황이 역뱐헸더라구요.

국내외 반도체의 경제적 전망은 어떤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상황이 좋아지는게 아니라서 시설 및 증축 투자등에 대한 부분은

      줄어들었지만 아무래도 반도체에 쓰이는 장비나 기술들이 많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봐도 전망자체가 나쁘지는 않습니다.

      국내의 경우에는 국가핵심기술이기도 하구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향후 경기가 어렵다면

      경기민감주에 해당 하는 반도체 기업들이 힘들 수 있으나

      향후 경기가 다소 회복세를 보인다는 의견이 많아

      반도체기업들이 다소 나아질 수 있으나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네 아시는대로 코로나 혜택으로 IT 수요 폭발로 인한 반도체 수요 급증으로 호황기를 맞았습니다. 인플레이션 시대 진입으로 인해

      수요 둔화로 인해 공급 과잉, 즉 재고 급증으로 인해 역대 최악의 반도체 시장이라 볼수 있습니다.

      다만, 23년 하반기 이후에는 어느정도 재고 해소를 될것으로 예상되며, 내년에는 좋아질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국내의 반도체업계 전망은 매우 좋지 않다고 말씀드릴 수 있는데 낸드플래시나 D램의 경우 재고가 많이 쌓여있는 상황인데 2022년도 연말 재고 수준이 2021년도 연말 재고 수준의 60%가 넘는 상황이었던 것을 감안한다면 재고 처리가 매우 힘든 상황으로 보여집니다. 설상가상으로 최근 낸드플래시 가격이 하락하여 거의 생산원가 수준으로 하락하였고, D램 가격의 경우는 손익분기점 이상의 가격이기는 하나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추세인데 재고 물량이 소진되지를 않다보니 감산을 하지 않기로 하였던 삼성전자 마저도 감산을 해야하는 상황에 이를 수도 있다는 전망이 있습니다.

      2022년도 4분기 기준으로 대만의 TSMC와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이 TSMC는 60%, 삼성전자는 13%로 2019년대비 더 큰폭의 점유율 차이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게다가 TSMC의 경우 생산능력은 삼성전자의 3배에 달하며, 납기나 수량 모두 정확하게 유지가 되고 있어 최근 글로벌 시장의 침체에 따른 '치킨게임'에서 우리나라의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는 도태되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상황으로까지 예측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