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자산관리

침착한게142
침착한게142

노후 대비 방법 조언 및 질문드립니다.

국민연금 연금저축 irp 이렇게 세개만 준비해도 노후 준비 될까요? 이거 말고 효과적인 노후준비방법 있을까요? 아 여기에 미국배당주로 월50정도는 받을듯 합니다. 이외에 또 추천할한 대비법 조언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과 연금저축, irp 등을 통하여

    노후준비를 하여도 충분합니다.

    더불어서 국내배당주, 미국배당주를

    혼합하시면 더 완벽할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노후 대비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국민연금, 연금저축 그리고 IRP 가 있다면 기본적인 준비는 되는 것으로 보여지며

    배당으로 매월 50만원씩 받으시면 큰 무리는 없을 것입니다.

    일단, 가능하시면 현금 흐름이 있게 다른 소득원도 준비해보시면 좋고

    또한 건강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은 국민연금 + 퇴직연금(IRP) + 개인연금은 노후 준비의 3층 구조로 기본입니다.

    여유자금이 있다면 ETF, 배당주 투자로 현금흐름 확보도 좋은 전략입니다. 의료비 대비로 실손보험, 장기요양보험 등도 함께 준비 하면 노후 리스크 관리에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 연금저축 및 IRP는 좋은 노후대비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얼마나 적립하는지에 따라 노후 대비 수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는 부동산이나 고배당 주식 투자, 실손보험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 포트폴리오는 안정성, 절세, 현금흐름을 잘 조합한 구조로 보입니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고려하면 좋은 방법 중 하나는 비연금형 자산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연금 자산은 대부분 55세~60세 이후에 인출 가능한데요. 50대 초중반, 예상치 못한 의료비나 부모 부양 등으로 현금 유동성 자산이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세금우대 적금, CMA, 단기채권 ETF, 금 통장 등으로 비연금성 자산을 운용하면 좋을 듯 합니다.

    추가로 환율 헷지 목적으로 해외자산 비중을 조금씩 늘리시면 어떨까 합니다. 이미 미국 배당주를 보유 중이시라면 어느정도 환율 헷지가 되겠지만, 앞으로 원화가치 하락을 고려한다면 외화자산 비중을 더 늘리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만약 투자를 하신다면 연금저축 IRP, ISA계좌를 함께 개설후 투자하시는 게 좋구요. 국민연금 외 개인연금을 넣으시고, 보험도 나이들어 아픈 걸 대비해서 미리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 연금저축, IRP에 미국 배당주 투자까지 준비하셨다면, 이미 노후 대비의 기본적인 틀은 잘 갖추신 셈입니다. 다만, 국민연금만으로는 생활비를 충분히 충당하기 어렵고, 연금저축과 IRP 역시 한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현금 흐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미국 배당주로 월 50만 원 수준의 수익이 있다면 분산 투자 측면에서도 긍정적입니다.

    여기에 더해 주택연금 활용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집을 소유하고 계시다면, 주택연금으로 매월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 또, 건강이 허락한다면 은퇴 후에도 파트타임 등으로 소득을 이어가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마지막으로, ETF 등 분산 투자 상품을 연금계좌에서 운용하면 세제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으니, 투자 포트폴리오를 꾸준히 점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