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24.01.18

경기침체가 오지 않는 상황에서 금리 인하를 하게 되면 미채권은 어떤 영향을 받나요?

현재 경기 지표가 좋게 나오면서 경기침체는 전혀 생각도 하지않게 되는 것 같던데요.

만약에 경기침체가 없는데 금리인하를 하게 될 수가 있나요?

그리고 경기침체가 없는 상황에서 금리인하를 하게 된다면 미국채권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가 없더라도 고금리를 너무 유지하면

    경기가 상당히 부담을 느끼기에 금리를 인하할 것이며

    미채권의 발행 이자도 낮아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가 도래하지 않는 상황에서 금리인하를 하게 되더라도 시장의 화폐 유동성 공급을 늘리는 것은 동일하기 때문에 미 채권의 금리는 하락하게 되고 반대로 채권의 가격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채권은 단순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경기침체나 호황과 무관하게 일단 발행된 채권의 금리가 변동하게

      되면 가격도 같이 변동을 하는데 채권의 금리변동에 따라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고 보시면 됩니다.

    • 금리가 상승하면 가격은 하락하고 금리가 하락하면 가격은 상승하는 구조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가 안정적인 상황에서 금리인하시 수요는 증가하고 인플레는 늘어나고 미국채는 금리인하 영향으로 수익률이 낮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요즘 경기가 좋아서 경기침체는 아닌데 경기침체라 믿고 싶긴한거 같아요 올해 미국대선이 있으니 돈을 좀 풀려는 수작같은 느낌입니다 경기침체라 믿고 금리인하 하면 하는겁니다

    대신 다시 물가가 오르겠죠 미국채는 금리인하 선반영을 많이 한 상태라 금리 인하를 올해 몇번하냐의 관점으로 접근해야할거 같구용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에 경기침체가 없다는 가정하에 별다른 경기 위협이 없고 물가도 많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가급적 기준금리를 늦게, 천천히 내릴것으로 보입니다.

    침체없이 기준금리를 내린다면 미국채 채권의 이자율도 내려가고, 국채가격은 상승하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인하로 인해 대출이 유리해지고 소비와 투자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경기가 회복되고 주식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 국채 수익률이 하락하면 미국 국채 가격은 상승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