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036서울올림픽 유치시도를 한다는데 만일 하면 적자라서 우리나라 경제의 안좋은거 아닌가요?
최근 2036서울올림픽 유치시도를 한다는데 만일 하면 적자라서 우리나라 경제의 안좋은거 아닌가요? 88올림픽때처럼 우리나라가 인지도가 떨어지는것도 아닌데 왜 유치릉 하려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서울 올림픽 유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앞으로 그런 국제 대회는 더 이상 유치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올림픽, 월드컵, 평창 동계올림픽까지
충분히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적자가 될지 흑자가 될지는 준비과정에 달려있습니다.
기존 경기장 최대한 활용 및 리모델링을통해 원가절감도 가능하고, 준비과정에서의 산업 규모성장과 낙수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2036 서울올림픽 유치 시도는 여러 가지 이유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첫째, 올림픽은 국가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관광 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둘째, 대규모 인프라 투자와 관련 산업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셋째, 올림픽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물론, 올림픽 유치가 항상 경제적 이익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과거 사례에서 보듯이, 많은 도시가 올림픽 개최 후 적자를 경험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서울은 1988년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경험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계획과 준비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결국, 유치 여부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의 종합적인 평가와 논의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서울시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추진하는 배경에는 '재활용 올림픽에 대한 자신감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1988년 서울올림픽과 2002년 월드컵을 통해 구축된 기존 시설을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시설 투자 없이도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할 수 있다는 계획입니다. 서울시는 잠실과 올림픽공원에 있는 기존 시설을 재활용하고, 인천과 경기 지역의 스포츠 시설을 공동 사용하여 시설 투자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대규모 적자 우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올림픽 개최는 경제적 효과가 크지만, 대규모 건설 사업이 마무리되면 고용률이 다시 낮아질 수 있다는 점에서 장기적인 경제적 함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서울시는 기존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흑자 올림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이러한 계획은 파리 올림픽의 사례를 참고하여 신중하게 판단하고 있으며, 올림픽 유치를 통해 서울의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올림픽 개최는 많은 국가에서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서울시는 기존 시설과 인프라를 활용하여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전략을 세우고 있습니다.'
적자가 날지 안날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경제적인 측면외에 국민의 즐길거리 및 이벤트, 놀거리 측면에서도 의미는 있다고 봅니다.
다만, 너무 큰 적자까지는 그럴수 있으니 최대한 기존의 시설을 활용하면 제반 여건이 적자가 크게 날 만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별점 5점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올림픽을 유치한다면 우리나라의
브랜드 가치가 올라가기도 하며 더불어서
많은 관광객 유입 및 서울이라는 도시 자체를
알릴 수 있기에 이에 적자를 본다고 하더라도
광고효과가 엄청나기에 유치하려고 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