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굉장한콘도르12
굉장한콘도르12

미중간의 관세합의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요?

상호관세 부분을 그냥 없애는 경우라고 들었는데요, 이러한 경우에 우리나라의 관세율 보다 낮은 수치라고 알고 있는데요, 이러한 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중 간 관세 합의는 양국이 서로에 대한 고율 관세를 일시 중단하거나 인하함으로써 무역 갈등을 완화하려는 조치입니다. 상호관세가 낮아지면 양국 간 수출입 품목의 가격 경쟁력이 회복되어 무역 흐름이 정상화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보다 낮은 관세율이 적용되면, 미국이나 중국이 서로에게 제공하는 무역 혜택이 한국 기업보다 더 커져 상대적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한국의 대미대중 수출 경쟁력에 구조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2025년 5월 12일, 미국과 중국은 상호 관세를 대폭 인하하고 90일간 유예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이로써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25%에서 10%로 낮추었습니다 . 이는 양국 간 무역 전쟁의 긴장을 완화하고, 글로벌 공급망의 안정성을 회복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한국의 경우, 미국과 중국의 관세율이 각각 30%와 10%로 조정되었지만, 여전히 한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은 10%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 이는 한국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자동차, 반도체, 철강 등 주요 수출 품목에서 이러한 영향이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미국과의 통상 협상을 통해 관세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미국과의 고위급 협상을 통해 관세 면제나 인하를 추진하고 있으며, 세계무역기구(WTO) 등 국제기구를 통한 다자간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이를 통해 국제 무역 질서를 유지하고,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국제적인 견제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