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시대의 교육기관 태학에 대한 질문입니다
태학이라는 교육기관은 고구려시대 어느왕때 처음 생겨났고 이 교육기관의 교육수준은 어느정도 였나요? 또한 교육대상은 일반 서민들도 받을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학은 AD.372.(고구려 소수림왕 )최초로 세운 대학과정의 국립대학으로 귀족자제 국한 되었고 최고의 교육기관이었습니다.
고구려 태학에 여자들이 들어간 기록은 없으며 오늘날의 국립 대학과 같은 곳이었습니다. 하지만 실력만 좋다고 입학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고 주로 지배층의 자제들이 다니는 귀족 학교였습니다. 입학 후에는 유교 경전을 익히거나 무예를 수련했는데, 이 중에서 뛰어난 인재들은 중앙 정부의 관리로 등용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학은 고구려 때 국가에서 세운 유학교육기관으로, 소수림왕2년(372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오직 귀족 자제만 입학이 허가되며 경학, 문학, 무예 등을 종합적으로 가르쳤다고 합니다. 지금 으로 따지만 서울대학교나 과학기술대학 처럼 국립 대학의 성격 이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학(太學)은 372년(고구려 소수림왕 2년)에 설치되었다. 같은 해에 전진(前秦)과 교류하여 불교가 들어왔기 때문에, 전진의 영향을 받아 태학이 설치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태학은 중국 왕조의 유교 교육 기관 이름이기 때문에 진(晉)과 같은 중국 왕조의 교육 제도를 참조하여 설치했을 것이다.
태학의 교육 내용에 대해서는 전하는 바가 없어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 하지만 태학이 유교 교육 기관의 이름이었던 점으로 볼 때 유교 경전을 주로 가르쳤다고 여겨진다. 아울러 『구당서(舊唐書)』에 의하면, 고구려에서 유교 경전인 5경(五經) 이외에도 『사기(史記)』⋅『한서(漢書)』⋅『후한서(後漢書)』⋅『삼국지(三國志)』⋅『진춘추(晉春秋)』 등의 역사서, 『옥편(玉篇)』⋅『자통(字統)』⋅『자림(字林)』 등의 한자 관련 서적, 그리고 문학 작품인 『문선(文選)』 등을 중요하게 여겼다고 한다. 태학에서도 이 책들을 교육했을 것이다.
태학이 설치된 소수림왕(小獸林王, 재위 371~384) 대는 왕권 중심의 정치 체제가 갖추어진 시기였다. 이에 소수림왕은 유교 정치사상에 입각하여 왕권을 강화하는 한편, 왕을 보좌하여 행정 업무를 수행할 관료들을 양성하기 위해 태학을 설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태학에는 국자박사(國子博士), 대학사(大學士), 사인(舍人), 통사(通事), 전객(典客) 등의 관원이 속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