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국민연금 개혁안에 있는 소득대체율이라는게 어떤 말인가요?

저출산 문제와 엮여 국민연금 고갈 문제가 계속 대두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국민연금 개혁안에 보면 여러가지 내용이 있는데요. 그 중에서 소득대체율이라는게 어떤 의미인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득대체율이란 국민연금을 40년간 가입했을 때 납입 당시 월 소득의 얼마만큼을 대체할 수 있느냐 에 대한 것을 요율로 확인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소득대체율이 40%인 경우 40년간 월 평균소득이 300이라고 가정하고 국민연금을 납부 했을 때 120만원의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금액이 연금 가입자의 생애평균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생애평균소득 대비 노후에 받을 수 있는 연금 수령액의 비율을 가리킨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득대체율이란 내가 예를 들어서

    생활비가 100만원이 필요하고

    국민연금이 40만원을 준다면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은 40%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득 대체율을 간단하게 설명 드리면 국민연금 납부대상자였을 때 월 200만원의 근로자였었고 나이가 들어서 국민연금 수령대상자가 되었을 때,​ 국민 연금으로 월 200만원을 받는다면 소득대체율이 100%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보통 국민 연금으로 소득 대체율을 100% 보상 받는 사람들은 드물 지요. 대략 20-30% 정도 라고 보여 집니다. 즉, 월200을 맏던 사람이 퇴직 후 40만원을 받으면 소득 대체율이 20% 정도 라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득대체율이란 보험료를 40년 동안 납입했다고 가정할 때 이 기간 평균 소득 대비 노후에 받는 연금액 비율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의 현재 소득대체율은 42.1%에 해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소득대체율은 연금을 수령하기 전에 평균적으로 받던 월급 대비 연금수령액을 의미합니다.

    • 예를들어 평균 소득이 500만원이고 연금수령액이 250만원이라면 소득대체율은 50%입니다.

    • 소득대체율이 높을수록 연금수령액은 올라가지만 연금재정에는 무리가 가게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