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충분히희망찬블랙베리
충분히희망찬블랙베리

세포 내 포도당 농도 증가속도가 왜 저렇게 되나요?

교수님께서 "세포 외부에 포도당만 존재 시(점선)"의 그래프가 포도당이 나트륨 의존성 당 운반이라는 증거라고 하셨고 운반체에 의한 촉진확산의 예라고 하셨는데 그럼 오히려 저 점선 그래프가 "나트륨과 포도당 존재 시 그래프(실선)"가 돼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 위에 있는 "세포 외부에 나트륨과 포도당 존재 시의 그래프"는 그럼 왜 있는 건가요? 그리고 실선 그래프의 형태는 왜 저렇게 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그래프에 나타난 포도당 농도 변화는 세포 내 포도당 운반이 나트륨(Na⁺) 의존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운반 메커니즘은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Sodium-Glucose Contransporter ; SGLT)를 통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점선 그래프(세포 외부에 포도당만 존재 시)는 포도당만 존재할 때 세포 내 포도당 농도 증가 속도를 나타냅니다. 이 그래프가 비교적 완만한 이유는, 나트륨 이온이 없을 경우 포도당 수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는 나트륨 이온의 농도 경사를 이용하여 포도당을 세포 내로 운반하는데, 나트륨 이온 없이는 이 과정이 제한됩니다.
    실선 그래프(세포 외부에 나트륨과 포도당 존재 시)는 나트륨과 포도당이 모두 존재할 때 세포 내 포도당 농도 증가 속도를 나타냅니다. 이 경우, 나트륨 이온의 존재로 인해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가 활성화되고, 결과적으로 포도당의 세포 내로의 운반 속도가 매우 빨라집니다. 초기에 급격한 증가를 보이는 이유는 나트륨 농도 경사를 따라 포도당이 더욱 효율적으로 세포 내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교수님께서 점선 그래프가 나트륨 의존적 당 운반의 증거라고 언급하신 것은, 포도당의 운반의 효율이 나트륨 존재 유무에 크게 의존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실선 그래프가 포도당과 나트륨이 함께 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이 그래프는 나트륨-포도당 공동 수송체의 활성화를 보여주는 직접적인 증거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