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느낌의 그림자
느낌의 그림자

인공지능 투자 확대 기반 예산 증액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까요?

예산 투입이 실제 혁신 성과로 이어지게 하려면 어떤 실행 전략과 평가 체제가 필요할까요? 인공지능 기술 중심 재정 확장이 일자리, 산업 구조 전환과 어떻게 연계 되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인공지능에 돈을 더 쏟아붓는다는 얘기를 들으면 일단 반가운 마음이 듭니다. 뭔가 제대로 해보려는 거구나 싶거든요. 근데 또 한편으론 걱정도 됩니다. 돈만 늘린다고 성과가 바로 나오진 않잖아요. 그냥 연구비만 풀면 연구실 몇 군데만 살찌우고 끝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실행 전략이 진짜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연구 성과가 산업 현장으로 실제 넘어가도록 지원 체계를 촘촘히 짜야 하고, 성과 평가도 단순 논문이나 특허 건수보다 실제 사회적 파급력이나 산업 현장 적용률을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자리 문제도 연결해서 고민해야 합니다. 단순히 기존 일자리를 대체하는 게 아니라 새로운 직무 교육이나 산업 구조 재편으로 이어질 수 있게끔 설계가 필요합니다. 그러니까 예산 확대 자체는 긍정적인데 그걸 어디에 어떻게 쓰느냐가 결국 승부처가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인공지능 투자 예산 증액이 추진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인공지능 (AI) 가 미래의 먹거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지금부터라도 정부 주도하에 연구 및 개발을 해야지

    우리 경제의 동력이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인공지능의 투자 예산이 증액이 된다면 그것을 활용하여 더 많은 인공지능에 투자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가령 인공지능 r&d 분야에 대한 투자, 또는 인공지능 센터의 건립 등에 사용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인공지능이 예산을 들인것으로 성과를 내려고 한다면, 다양한 국가들과 협력체제를 구축하여서 정보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는것이 맞다고 생가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AI 분야에 대한 대규모 예산 투자는 잠재성장률 하락을 반등시키는 중요한 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AI 기술을 제조업 등 주요 산업에 접목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며,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특히 피지컬 AI나 온디바이스 AI 같은 첨단 분야에 대한 투자는 미래 먹거리 산업을 선점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AI는 단순 반복 업무를 대체하는 것을 넘어, 고도의 인지적, 지적 노동 영역까지 자동화할 수 있어 노동시장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따라서 정부 투자는 단순히 기술 개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대비하는 포괄적인 정책과 연계되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AI 투자예산 증액은 신산업 육성, 일자리 창출, 국가경쟁력 강화에 긍정적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성과를 내기 위해선 민간 참여 확대, 객관적 성과평가, 인재 양성체계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이러한 ai 투자 확대에 따른

    기업들이 많은 연구와 개발 등에

    자금이 투자되고 여러 유수의 대학기관 등에도

    많이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내년도 정부 예산안의 핵심은 AI 초혁신 경제를 통한 진짜 성장으로 이를 위해 연구개발 분야에만 35조 30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인데요.

    단순 예산 증액을 넘어, 연구 현장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지속 가능한 연구 구조가 마련돼야 더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단기적인 성과 중심의 평가와 불필요한 행정 절차와 규제 등도 적극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