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근면한후루티114
근면한후루티114

고지혈증 개선 방법좀 알려주세요?

나이는 44세이고 몇년간 줄곧 건강검진만하면 간수치나 다른 큰문제는 없는데 고지혈증 수치가 높게나와서 의사 선생님은 약처방을 하시는데 약먹지안고 개선 방안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현보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고지혈증약은 혈액속 콜레스테롤을 찾춰주어 혈액을 맑게 해줍니다. 콜레스테롤을 방치하면 혈관을 막아 합병증이 생기게 되지요. 약을 안먹고 싶은 마음은 이해하지만 고지혈증약이 필요하다 진단받았다면 꼭 먹어야합니다. 예방약이라 생각하고 매일 일정한시간에 잘 챙겨드셔야 앞으로 건강 유지하실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고지혈증은 혈중 내 LDL수치가 높은 질환으로 유전적 소인으로 간에서 LDL이 많이 합성 되거나 갱년기와 같은 호르몬 변화로 인해 수치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LDL수치를 낮춰주낸데 폴리코사놀이나 홍국 레시틴과같은 성분의 제품이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수치가 많이 높은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의 지시대로 고지혈증약을 복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경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고혈압 이나 당뇨병 . 간수치가 정상이고 콜레스테롤만 높다면 음시과 건강기능 보조식품으로 드셔서 조절 하셔도 될듯 합니다.

      폴리코사놀과 오메가3 마늘 성분이 든 영양제를 꾸준히 드셔 보시고 조절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고지혈증은 크게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고 고지혈증이라고 부르는데요

      중성지방 수치가 높으면 오메가3를 드시는게 좋고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병원에서 처방하는 스타틴계열의 약을 드셔야합니다.

      추가적으로 탄수화물 식이를 줄이시고 오메가3를 고함량으로 추가로 복용하시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자님께서는 고지혈증을 진단 받으셨는데 약을 현재 복용하지 않고 계시는군요.

      우선 고지혈증은 3대 대사 증후군으로서 약을 복용하지 않고 방치하시면 고혈압, 당뇨가 추가로 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처방 받으신 고지혈증 약은 복용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추가로 개선 방안으로는 산화된 기름(식용유, 튀긴음식)을 아예 멀리하시고 산화되지 않은 기름인 노유파 지방산을 복용하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경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우선 콜레스테롤이 높은 음식의 섭취를 자제하셔야 합니다.

      조개, 삼겹살, 햄버거 등등등 기름진 음식과 트랜스지방산이 많은 튀긴음식등은 자제하는게 좋습니다.

      운동을 꾸준히 하시면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수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수치를 내리는데 도움이 됩니다.

      체중감량역시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오메가3, 나이아신, 폴리코사놀 등의 보충제를 챙겨드시는 것도 LDL수치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민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고지혈증 수치가 높을 경우 의사의 처방하에 고지혈증 복용을 우선적으로 추천드립니다.

      추가적으로 보조요법으로 중성지방이 높을 경우, 오메가3를 복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생활요법으로는 포화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높은 음식 (삼겹살, 갈비, 커피프림, 탕류, 내장류 등)의 섭취를 줄이고 잡곡, 채소, 해조류 등 섬유질이 풍부한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며, 트랜스지방(마가린, 팜유 등)은 가능한 적게 섭취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초기라고 하시면 우선 생활습관과 식습관 교정을 해보실 수 있고, 영양제 써보실 수 있습니다.
      혹시나 비만이라면 체중을 감량하고, 포화지방산의 섭취를 줄이면 도움이 될 수 있구요,
      영양제로는 오메가3가 중성지방 수치를 주절해줄 수 있고
      폴리코사놀, 홍국 등의 성분이 HDL과 LDL수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영양제와 생활습관 교정으로 노력을 해보시고
      다시 검사를 했을때 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약을 드시는걸 권장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건강기능식품으로는 홍국 이라는 성분의 들어간 경우 콜레스테롤수치를 낮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상태가 유지되면 혈관에 염증이 생기는 등 합병증 우려가 있으므로 약을 꾸준히 드시거나, 건강기능식품이라도 드셔서 관리하시는게 좋을것 같고,

      식이요법과 운동을 꼭 병행하셔서 수치 관리 잘 하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지질이상혈증 (고지혈증)으로 문의주셨습니다.
      고지혈증은 각종 심혈관계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어서 약물을 복용하며 조절하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우리가 시력이 안좋으면 안경의 도움을 받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약으로 콜레스테롤 조절의 도움을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적절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이 필요합니다.
      비만이라면 체중을 줄여야 하며, 섭취하는 지방량을 총 섭취 칼로리의 30%이하로 제한해야 합니다.
      또한 탄수화물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할 경우 중성지방이 증가하고 HDL-콜레스테롤(좋은 콜레스테롤)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고지혈증 약물 (statin)도 꾸준히 섭취하며 주기적으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늘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식이요법/운동 하셔야 합니다.

      -고지혈증으로 진단 받은 경우 약을 먹어서 합병증을 예방하는게 중요합니다.

      -약을 드시지 않는 경우 음주/흡연은 절대 하시면 안되고, 기름진음식이나 칼로리 높은 음식은 드시면 안됩니다. 건강식으로 드셔야 하고, 하루에 30분 이상 꾸준히 운동해주셔야 합니다.

      -추가로 알티지 오메가3를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라며,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약사 김수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정수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저라면 3개월정도 고지혈증약 복용하면서 생활습관 교정을 하고 이 후 재검사를 하고 정상수치로 돌아오면 약을 끊고 생활습관에 신경쓰라고 처방할 것 같습니다. 고지혈증은 다른 심혈관계 질환과 연관성이 높은 질환으로 초반에 관리를 잘 해주셔야 다른 혈관질환으로 고생하지 않습니다. 약을 평생먹지 않아도 음식, 운동 등으로 충분히 조절할 수 있기때문에 우선 LDL 수치를 낮추기 위해 단기간 약물치료를 병행하고 추후 생활습관에 신경쓰신다면 LDL 수치 정상치로 유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생활습관 교정은 쉽지 않은 부분이므로 보통 한번 약을 복용하면 잘 끊기 힘든 것도 사실입니다만, 이는 경험상 환자분의 의지에 달린 문제라고 봅니다. 약을 끊을 수 있는 방법이 운동과 식이요법인데 이를 할 수 있는 의지가 부족한 분들이 많기때문에 약의 힘을 빌리게 되는 것이죠. 물론 이것도 나쁜 방법은 아닙니다만 약을 매일 한 알씩 복용하는 것도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이므로 이는 질문자님께서 잘 고민해보시고 우선은 단기간 약 먹으면서 생활습관 교정에 신경써보세요.

      약은 치료제이기도 하지만 치료를 도와주는 약이라고 생각하셔야 됩니다. 충분히 음식조절과 운동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식이요법

      -과체중 상태라면 점진적으로 체중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다른 심혈관계 위험인자가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조절이 필요합니다.

      -섭취하는 지방량을 총 섭취 칼로리의 25~35%로 제한합니다. 특히 쇠기름, 돼지기름 등의 모든 동물성 기름과 버터, 쇼트닝, 코코넛 기름과 팜유 등의 포화지방산은 전체 칼로리의 10% 미만으로 제한하고, 오메가 3계 지방산(주로 등푸른 생선, 참치, 삼치, 꽁치, 고등어, 연어, 청어, 숭어, 정어리 등에 들어있음)과 오메가 6계 지방산(옥수수 기름, 면실유, 해바라기씨 기름 등)으로 구성된 다가불포화지방은 총 칼로리의 10% 이하로, 올리브기름, 땅콩기름, 카놀라유 등에 많은 단가불포화지방산은 총 칼로리의 20% 이하로 제한합니다.

      또한 탄수화물(특히 단순당)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할 경우 중성지방이 증가하고 HDL-콜레스테롤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