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에 따라 나타나는 구름의 모양과 양이 어떻게 변화되나요?
가을 하늘엔 구름 한점 없이 파랗다라고 늘 생각해 왔는데
오늘은 하얀 구름들이 꽤 많이 보였습니다.
계절에 따라 구름의 모양과 양이 대체로 어떻게 달라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차가운기단과 덥고습한기단이 만나 구름을 만들게됩니다.
여름에는 북태평양 기단이 강하여 많은 습기를 가지고있으므로 높은 적운형의 구름을 만들게됩니다.
겨울에는 찬바람이 강하여 찬기단의 경사면을따라 넓고 높은 눈구름이 만들어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생기는 원리는 공기가 상승하는 기류를 만나 상승하면서 부피가 커지고 온도가 떨어집니다. 때문에 공기중 수증기가 물이되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그런데, 구름이 형성될 때 지형, 기압, 수증기량, 수증기량의 분포도 등 아주 다양한 변수에 의해 모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각기 다른 모양의 구름이 형성됩니다.
봄은 고기압의 영향과 양쯔강 기단의 영향을 받아 권층운, 권운이 잘 형성됩니다.
여름에는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을 받아 적운, 적란운이 형성되며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가을에는 봄과 마찬가지로 권층운과 권운이 형성되며 층적운을 자주볼 수 있습니다.
겨울에는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아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진 권운, 상층운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구름의 모양을 결정 짓는 환경 요인이 매우 많습니다.
주로 구름이 생성되는 장소와 기압, 온도, 수분량 등이 영향을 미치는데,
이 값들이 계절마다 다르기 때문에 구름의 모양도 다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