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고려 광종 때 칭제건원론은 무엇인가요?
고려 광종 때 칭제건원론이 주장되었다고 알고 있는데요.
칭제건원론은 무엇이며, 어떠한 이유때문에 칭제건원론이 주장이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광종때 주창한 칭제건원론(稱帝建元論)은 군주를 황제라 칭하고,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자는 주장을 말합니다.
이것은 사대주의를 극복하고 자주성을 확보하자는 것이었는데, 결국 실패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칭제건원론은 왕을 황제라 칭하고 연호를 사용하자는 주장입니다.
이 주장은 묘청파의 서경천도운동 중 금국정벌문제와 더불어 제기되었습니다.
1129년 2월 왕이 서행하여 새로 낙성된 대화궁에 들어갔을 때 묘청파에 의해 주장되는데 이들은 그 후에도 서경의 원로인 검교태사치사 이제정 등 50명으로 하여금 이 문제를 다시 제기하게 하는 등 이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이 주장은 묘청파의 천도 운동과 아울러 그들이 실현하려 했던 정치 개혁의 중요한 사항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을 황제라 칭하고 연호를 사용하자는 주장입니다. 고려 광종 때 칭제건원을 실시하였습니다. 또한 고려 인종 때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에서 금국 정벌과 함께 주장한 것으로 자주적 의식이 내포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