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 오를때 국내 경기가 나빠지는건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보통 환율이 오르면 수출경기가 좋아져서 혹은 경기가 좋기때문에 환율이 오르는거라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요즘 보면 환율이 오를때 국내경기가 더 나빠지는거 같습니다.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환율이 오르게 되면 우리나라 수입물가의 상승으로 전체적인 물가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내수 침체가 심각해집니다
또한 환율이 상승하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우리나라에 투자를 꺼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기에
우리나라 경제가 전반적으로 어려워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환율이 오르게 되면 국내 경기가 나빠지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분명 수출 기업에게는 환율이 높은 것이 유리하지만
그 외 수입 기업에게는 치명적이고 동시에 국내 물가가 오르기에
경기가 나빠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수출금액이 늘어나기 때문에 무역수지가 개선되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현재처럼 비정상적인 상승은 물가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으며 경제 성장이 없는 물가 상승으로 경제 하락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간단히 설명드리면 환율이 올랐을 때 우리나라 화폐의 가치는 떨어지게 되는데, 생각해보면 수입을 할 때 같은 물건을 더 비싸게 사게 되는 것입니다.
이 현상이 반복되면 결국 물가가 상승하게 되고 일반인들이 느끼게 경기가 나빠졌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단순하게 바라본다면 수출기업 입장에서는 가격경쟁력 때문에 환율이 오를수록 좋지만, 해당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 원재료를 수입해야 한다면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라 사실상 가격 경쟁력이 무의미해지고, 또한 수입기업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실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 소비자들 역시도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내수시장이 위축되고 물가는 상승하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되고, 국내에 투자된 외국인 투자자금이 국외로 유출되면서 상황은 더욱 최악으로 치닫게 되는 것입니다.
일단 환율이 오르면 수입물가가 안좋아져서 전체적인 물가상승을 유발하고, 개인의 실질소득을 감소시키는 영향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환율이 올라도 수출효과가 적은데 그이유는 주요 수출기업이 해외에 직접 진출해있는 경우가 많기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오르면 기본적으로 기름한방울 안나는 우리나라는 수입물가 상승으로 전반적으로 물가가 오릅니다
그러니 내수경기는 더욱 안좋아지긴하는거죠 말씀하신대로 수출업체들은 가격경쟁력 상승으로 수출경기 자체는 좋아질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올해 마무리 잘 하시고 새해엔 좋은 일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오르면 수입품이나 원자재 가격이 상승합니다. 이로 인해 기업은 수익구조가 나빠지고, 국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게 됩니다. 이는 소비와 투자 위축으로 이어져 국내 경기 침체가 될 수 있는 상황이죠.
또한 환율이 오르면 외국인 투자자 환차손을 우려해 주식시장에서 자금을 회수할 수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오른다는 건 달러 대비 원화 가치가 떨어진다는 뜻이에요. 보통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우리나라 수출기업들이 가격 경쟁력을 갖게 되어 수출이 늘어나고 경기가 좋아질 거라 생각하기 쉽죠. 그런데 최근의 상황에서는 환율 상승이 오히려 국내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어요.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원자재 및 에너지 수입 비용 증가 때문이에요. 한국은 원유, 천연가스, 원자재 등 많은 필수 자원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요. 환율이 오르면 같은 양의 원자재를 사더라도 비용이 더 많이 들게 되죠. 예를 들어, 환율이 1,200원에서 1,400원으로 오르면 100달러짜리 원유를 수입하는 데 20만 원이 아니라 14만 원이 더 필요해지는 셈이죠. 이렇게 되면 기업들의 생산비용이 늘어나고 이는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으로 이어져 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부담을 줍니다.
둘째,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과 국내 금융시장 불안정이에요. 환율 상승은 보통 글로벌 경제 불안정이나 금리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데, 이럴 때 외국인 투자자들은 더 안전한 달러 자산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어요. 즉, 원화를 팔고 달러를 사들이면서 환율을 더 끌어올리고, 동시에 국내 주식이나 채권 시장에서 자금이 빠져나가게 되죠. 이렇게 되면 한국의 금융시장이 흔들리고 불안감이 커져 국내 경기에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결국 최근 환율 상승은 글로벌 경기 둔화,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 등 대외적인 불확실성이 원인인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한국 경제는 수출보다 수입 비용 증가와 자본 유출이라는 더 큰 타격을 받고 있는 겁니다. 특히 에너지와 식량 같은 필수 수입품 가격이 환율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물가 상승 압박이 커지다 보니 국내 소비 심리까지 위축되고 경기가 나빠지는 거죠.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