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

1970년대에 우리나라가 산아제한 정책을 시행한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1970년대에 어떤 사회적, 경제적 상황이 있어서 산아제한 정책이 필요하게 된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산아제한 정책을 통해 어떤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해당 정책이 우리나라 사회와 가족 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인구의 과잉을 막기 위해 가족계획 사업을 처음으로 추진했습니다. 가족 계획 사업, 즉 산아제한 정책의 가장 큰 이유는 인구증가에 따른 식량 부족 문제입니다. 자녀를 많이 낳은 가정과 가족 계획을 실천한 가정의 경제 사정을 비교해 국민들에게 가족계획의 필요성입니다. 1960년대 3.3.35 원칙을 강조했는데, 3살 터울의 3명의 자녀, 그리고 35살 전에 출산할 것을 장려한 캠페인입니다.

      그런데 1970년대에 들어서는 60년대 세명을 권장하던 것에서 한명이 더 줄어, '둘만 낳아 잘 기르자'는 표어가 널리 알려졌습니다. 가족계획을 통해 출산율을 1.5%대로 떨어뜨리는 것을 목표로 가족 계획 운동과 산아 제한을 홍보하는 모습도 거리에서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