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그러네
그러네21.12.03

코로나 변이바이러스 순서가 차례가 아닌 이유?

요즘 전세계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는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가 하루 속히 종식되기를 바라며

코로나 변이바이러스의 순서가 코로나--- 코로나 델타--코로나 오미크론등 으로 명명 되는바

오미크론은 그리스의 15번째 자모로 알고 있습니다

코로나 변이 순서가 알파- 베타 - 감마식이 아니고 건너뛰어 델타 오미크론으로 명명되는바

특별한 명칭 붙이기 순서가 있나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나요 답변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훈 의사입니다.

    그리스어 순서대로 사실 알파(영국발), 베타(남아공발), 감마(브라지발) 변이가 있었지만 영향이 크지 않아 알려지지 않았던 것이고 인도발 변이 바이러스가 크게 유행하면서 델타로 유명해졌습니다.

    사실 뮤 변이까지는 나왔었고, 이번에 오미크론 이라고 명명한 변이는 사실 nu 차례 였습니다.

    하지만 nu 가 new 새로운 이라는 뜻이랑 헷갈린다고 하여 넘어가고.

    xi 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이 넘어갔는데, 다들 시진핑의 xi 라서 넘어갔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다음인 오미크론 변이라고 명명하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유명한 것들만 인식되다 보니 델타 다음에 바로 오미크론으로 넘어가는 것처럼 보입니다만, 그 중간에도 다들 변이가 있었습니다.

    다만, 뉴나 XI 등의 경우는 NEW와 헷갈리거나 많이 쓰이는 성에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명칭이 건너뛰게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WHO는 오미크론이 2021년 11월 9일 수집된 표본에서 처음 확인됐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이 2021년 11월 24일 보고했다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변이(B.1.1.529)를 '우려 변이'로 분류하고, 이름을 그리스 알파벳 15번째 글자인 '오미크론'으로 지정했다.[29][30][31]

    오미크론은 그리스 문자 알파벳 열다섯번째 글자다. 당초 13번째 글자인 뉴(ν) 변이로 명명될 것을 예상했으나 WHO는 오미크론(ο)을 택했다.

    변이는 알파벳 순서로 이름을 붙인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SARS-CoV-2_%EC%98%A4%EB%AF%B8%ED%81%AC%EB%A1%A0_%EB%B3%80%EC%9D%B4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아래는 이번 변이가 오미크론이 된 배경입니다.

    뉴 변이라는 명칭이 순서상 유력해 매체에선 이걸로 예상해 불렀지만 WHO에선 뉴(ν/Nu)와 크시(ξ/Xi)를 건너 뛴 오미크론(ο/Omicron)으로 명명했다. '뉴'는 'New'와 발음이 같은지라 의미상 혼동이 올 수 있기 때문에, '크시'는 영문 표기인 'Xi'가 영문 표기가 같은 중국의 시진핑에 대한 낙인으로 비칠 수 있기에 건너뛴 것으로 보인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최근 남아프리카에서 확산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는 당초 12번째 그리스 알파벳 '뉴'(Nu)라는 이름을 가질 예정이었으나, 영어로 '새로운'(New)을 뜻하는 단어와 발음이 유사해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관계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반려됐습니다.

    논란은 그 다음 13번째 알파벳 '크시'(Xi)와 관련해 불거졌습니다. 발음은 같지 않으나 영문으로 표기할 경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표기와 동일한 모양새를 띄기 때문입니다. 이에 WHO는 새 변이 바이러스를 두 개의 알파벳을 건너 뛰어 '오미크론'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일반적으로 변이바이러스는 관례상 그리스 문자 순서대로 명명짓습니다.

    2. 뮤변이까지는 순서대로 명명하였으나, 그다음 문자인 nu,xi는 건너뛰고 오미크론으로 명명하게 되었습니다.

    3. 간혹 중간 숫자 건너뛰는 경우도 있으며, nu는 뉴와 이름이 비슷하고 xi는 중국과 관련하여 건너뛴 것으로 추측만 하고 있습니다.


  •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는 현재 알파 베타 감마가 모두 있었고 그다음 델타이며 현재 오미크론으로 명명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현재 5번째 변이 바이러스에 해당하며

    원래는 13번째인 누 바이러스 이나, 발음이 뉴랑 비슷하여 신종바이러스로 공포감을 조성할 수 있어

    명명하지 않았고 14번째인 Xi 의 경우에도 특정 국가를 연상시킬 수 있어 넘어가서 현재

    오미크론으로 명명되었습니다.


  • 바이러스는 지속적으로 다양한 변이를 일으키며 코로나 바이러스 역시 다양한 변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오미크론은 아프리카에서 발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남아공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확산되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인 WHO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 변이종이 나올때마다 로마자 순서대로 이름을 붙이고 있으며 이번 변이는 13번째 순서로 뉴(v)가 될 차례였으나 이전 변이와 발음 및 표기상의 혼동을 막기 위해 그 다음 순서인 오미크론(o)으로 명명하였습니다. 흔히 듣지 못한 변이종은 큰 유행 없이 사라져 우리가 접하지 못한 경우입니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의 감염 전파력이 높으면 상대적으로 치명률은 낮으며, 치명률이 높을 경우 전파력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까지 보고된 바에 따르면 확산 속도가 빠르지만, 증상은 상대적으로 경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구체적인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력이나 치명률, 중증화율의 경우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오미크론 변이의 경우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침투하기 위해 필요한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델타변이보다 더 많은 변이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기존 백신과 항체치료제의 효과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백신이 이 변이의 감염을 억제할 수 있으며, 여전히 중증화 및 사망을 예방하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존재합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백신 제조사는 오미크론 변이에 맞추어 변형 백신을 생산해 낼 계획이며 현재 접종중인 백신의 추가접종 (일명 부스터샷)이 면역력을 유지하고, 감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현재까지 국내에서 코로나19 진단을 위해 허가된 시약은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의 주요 변이 부위인 스파이크(S) 유전자를 포함한 다수의 유전자 부위를 동시에 확인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감염 여부를 판정하는 진단검사에는 지장이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로나19 변이 여부의 확인은 확진 판정 이후에 추가적으로 실시하며 오미크론 변이를 보다 신속하게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변이 PCR 개발이 진행중에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이미 변이가 이전에도 있었으나 전 세계적인 유행으로 퍼지지 않았고,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아서 중간에 빠졌다고 느껴지는 것입니다. 실제로 변이가 나타나서 순서대로 명명은 되었답니다. 델타, 오미크론 정도가 이슈가 된 것일 뿐이지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2.04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오미크론으로 명명된 이유는 누 와 크사이가 new 그리고 시진핑의 xi를 연상시킬 수 있어 지나친 공포 그리고 정치적 편향을 드러낼 수 있기에 오미크론으로 명명했다고 밝혔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베타와 감마도 있습니다. 별로 영향을 끼치지 않아서 사람들에게 안알려졌을 뿐입니다.

    로마자 순서대로 이름을 붙이고 있습니다.

    현재 오미크론이라는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발표되었습니다. 일부 단백질 돌기가 변이를 일으켰다고 합니다. 전염력은 델타보다 수배~수십배 높다고 알려져있으나 아직 치명률, 백신에 효과가 있는지 등과 관련된 정확한 정보는 부족합니다.

    현재로서는 개발된 백신이 큰 효능을 보긴 힘들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향후 오미크론에 맞는 백신이 개발될 수도 있습니다.


  • 본 게시판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과 관련된 의학적인 상담을 하는 곳입니다. 질문자님께서 문의하신 어떠한 방식으로 변이를 명명하는지와 관련된 사항은 코로나 관련 의학적인 내용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상담 및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변종석 약사입니다.

    이번에 시진핑 때문에 그렇다는 얘기가 있고

    뉴라는 게 NEW 로 헷갈려서 그렇다는

    루머가 있을 뿐 자세히는 알 수 없습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따로 명칭 붙이기에 대한 규칙은 없으며 WHO에서 회의를 통해 결정하게 됩니다.

    현재 우려변이와 관심변이 이후 누 변이로 명명될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WHO의 회의를 통해 오미크론 변이로 명명되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