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음악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입이 짧다라는 말은 어디서 유래된 것인가요?

편식이 심하거나 굉장히 소식하는 사람을 보고 입이 짧다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입이 짧다라는 말은 도대체 어디서 유래된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입이 짧다'에는 두 가지 뜻이 있습니다.

    이는 '음식을 심하게 가리거나 적게 먹다'의 뜻을 나타내는 관용구로,

    "남편은 입이 짧아 입맛을 맞추기가 어렵다.", "그녀는 입이 짧아 식비가 별로 안 든다."와 같이 쓰이는데

    아쉽게도 그 어원을 찾아볼 수가 없었습니다.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입이 짧다에 대한 우리말 바로 알기

    [입이 밭다[짧다]]

    음식을 심하게 가리거나 적게 먹다.

    (예문: 저 아이가 저렇게 마른 것은

    다 입이 밭기 때문이지.

    /남편은 입이 짧아 입맛을 맞추기가

    어렵다.

    /그녀는 입이 짧아 음식을 조금 먹다가 그만둔다. )


    -출처: 국립국어원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입이 짧다"는 말의 유래는 명확하게 알려진 바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 말은 식욕이 부족하여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르다는 뜻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 말은 일반적으로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표현으로, '입'이란 단어는 입문이나 입호흡기와 관련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식욕'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입이 짧은 사람이라는 표현은 말 그대로 입에서 먹는 음식이 짧다는 뜻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는 식욕이 부족한 사람이 적게 먹기 때문에 입이 짧다는 표현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말의 정확한 유래나 역사적 배경은 분명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관용어나 속담으로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입이 짧다'에는 두 가지 뜻이 다 있습니다. 이는 '음식을 심하게 가리거나 적게 먹다'의 뜻을 나타내는 관용구입니다. 이 표현의 어원은 언제부터 인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많이 먹지 못한다 짧은 시간 동안 먹는다 등의 의미에서 입이 짧다 라는 말이 나온 것으로 유추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입이 짧다'는 말은 어떤 일이나 상황에서 감당할 수 있는 양보다 적게 받아들이거나, 급한 마음에 급한 결정을 내리는 것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이 말의 유래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지만, 일반적으로 새끼 돼지의 입이 짧아서 먹이를 제대로 씹지 않고 급하게 삼키는 모습에서 비롯되었다고 추측됩니다. 이와 비슷한 표현으로는 '입이 길다'라는 표현도 있는데, 이는 먹이를 씹고 삼키는 과정이 길어서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