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공손한멧새162
공손한멧새162

마야문명에서는 살인이 죄가 아니었나요??

마야 관련 책에서 본 사실이 맞는지 여쭤봅니다.

고대 마야문명에서는 경기에서 승리하면 상으로 죽음을 당할수 있어서 축복이고 좋은일이라고 생각하나요? 또한, 마야문명에서는 살인이 죄가 아닌가요? 아니면 살인이 죄인데 합법적으로 살인할수있는거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 약칭 한미상호방위조약(韓美相互防衛條約)은 6.25 전쟁 직후인 1953년 10월 1일, 워싱턴 D.C.에서 변영태 한국 외무장관과 존 포스터 덜레스 미국 국무장관이 조인하여, 1954년 11월 18일 발효한 대한민국과 미국 사이의 군사동맹에 관한 조약이다. 한미동맹의 법적 기반이라 할 수 있다.

      미국과 여러 국가의 동맹관계는 다양한 형태로 나뉘는데, 미국이 소속국으로서 다른 회원국의 전쟁에 자동으로 참전하는 조약기구 형태인 나토(NATO)와 그 이외의 동맹 국가들로 나뉜다. 이 중 후자는 주요 비 나토 동맹국(Major Non-NATO Ally)이라 하는데, 이 중 미국과 상호방위조약을 맺은 국가는 대한민국, 일본, 필리핀, 호주, 뉴질랜드, 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가 있다.

      '상호'라는 명칭이나 조약 2조 등을 보면 역으로 미국이 위기에 빠졌을 경우 한국군이 도와야 하는 것이 아닐까 싶을 수 있으나 이를 부정하는 해석이 있었기에 명칭과 달리 실제로는 한국군이 미국 유사시에 동원될 수 없으며, 미국이 한국 유사시에만 병력을 동원할 권리가 있으므로 한국 방위조약으로만 기능하고 있다.

      출처: 나무위키 한미상호방위조약

    • 안녕하세요. 한도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마야 문명에서는 살인이 죄가 아니었습니다. 이는 마야 문화에서 인간 희생이 종교적 의식으로서 중요하게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마야인들은 인간 희생을 통해 신들에게 제물을 바치는 것이 종교적으로 중요한 의식이라고 믿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마야 문명에서는 살인이 죄가 아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마야 문명은 고대 중앙아메리카에 위치한 문명 중 하나로, 현재는 멕시코 및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 발견된 유적지에서 증거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마야 문명에서는 살인이나 심지어 생존자들을 착취하는 행위도 법적으로 처벌되었습니다.


      마야 문명은 법 체계가 발달하였으며, 법규를 따르지 않는 행위에 대해서는 엄격히 처벌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마야 문명에서는 살인의 경우 살인자나 살해된 사람의 가족에 대한 보복을 막기 위해 법적인 절차를 거쳐 처벌되었습니다. 또한, 신앙 공간이나 왕궁에서의 범죄는 더욱 엄격하게 처벌되었습니다.


      따라서, 마야 문명에서는 법 체계가 발달하였고, 살인 등의 범죄는 엄격히 처벌되었으며, 이에 대한 증거도 유적지에서 발견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