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에서 사는 물고기의특징이 있을까요?
심해에서 살면 수압때문에 고통스러울 텐데 어떻게 물고기가 살아남을수 있을까요? 심해 물고기의 장기나 이런부분에 특이점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는 빛이거의 안들어와 어둡기 때문에 심해어는 다부분 눈이 퇴화 되었습니다 또한 심해의 높은 압력에 견디다 보니 외형이 기괴하게 변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에서 사는 물고기는 깊은 해저에서 살며, 차가운 물 온도와 높은 압력, 어두운 환경에 적응한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이들은 식물성, 육식성, 해파리와 같은 작은 물고기를 먹이로 삼아 살아가며, 몸의 크기가 작아지고 눈이 커지는 등 생리적 변화를 겪기도 합니다. 또한, 몸에 발광 유기체를 가진 종들도 있어 어둠 속에서 서로 통신하거나 먹이를 유인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어류는 부레 대신 몸 안에 가벼운 기름을 많이 가지고 있어 부력을 조절한다. 또 심해생물은 수축이 잘 안 되는 수분을 상대적으로 많이 가지고 있어 높은 압력에서도 잘 견딜 수 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물고기는 대부분 수심 200m에서 10000m까지 깊이에서 서식하며 수온도 낮고 압력도 매우 높다고 합니다. 높은 수압으로 눈이 튀어나온 물고기가 많다고 하네요. '통 모양의 커다란 눈을 갖고 있어 '통안어’라 불리는심해어는 빛에 예민한 두 개의 큰 눈에 녹색 렌즈가 덮여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어는 보통 극한의 수압에 맞춰 체내 압력을 조절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그 원리는 심해어의 몸뚱이는 느슨한 구조로 되어 있어, 체내의 공기 포함된 공간을 압력에 따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심해어는 깊은 해저에서도 자신의 몸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그덕분에 심해에서 생존이 가능한겁니다.
바다에서는 수심이 10m 내려갈 때마다 기압이 1atm씩 높아지며, 이를 고려했을 때 수심 10km의 해구에서는 무려 1천기압의 압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간은 잠수복 등을 갖춰 입고도 기껏해야 수심 30m 정도까지 내려갈 수 있는데에 반해서 수중생명체들은 심해에서도 많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기압이 높은 심해에서 서식할 수 있는 이유는 수중 물고기들 대부분이 부레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부레란 일종의 공기주머니이며, 물 속에서 상하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부력 기관인데요, 체내에 기체를 채워넣기 때문에 외부 압력이 높은 심해에서는 찌그러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심해 물고기들은 부레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대신에 체내에 물을 채워넣어서 외부와 내부의 기압차를 없애는 방식으로 살 수 있으며, 또한 높은 압력에서도 세포들이 살 수 있도록 세포 구조 표면에 불포화 지방산을 많이 가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에 사는 물고기들은 대부분 비슷한 특징이 있어요. 우선 몸길이가
30센티미터 이하로 작은 편이라는 것!
몸 색깔은 투명하거나 오히려 빛이 아예 반사되지 않는 은회색이나 짙은
검은색인 친구들이 정말 많답니다.
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 물체를 볼 수 있도록 눈이 매우 큰 생김새를
가지고 있는 것도 하나의 특징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은 수압을 받으며 살고 있는 생물들은 천해 지역의 생물들과는 다른 구조를 갖는데요. 가장 큰 특징은 몸속 빈 공간에 공기대신 물을 채워넣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몸 안에 있는 물과 몸 밖에 있는 물의 압력이 균형을 이뤄 몸체가 찌그러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심해 어류는 부레가 없습니다. 또 심해 생물들은 고압에서도 세포 사이의 물질전달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막 구조에 유연한 불포화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는 해수면과 다르게 수압이 매우 높기 때문에 심해어들은 매우 느리게 움직이게 됩니다. 수압이 내우 높기 때문에 크기는 작도 속도가 느린것이 특징이 됩니다.
두번째로 높은 수압에 의해 물고기들이 압력을 받아 눈이 튀어나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