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의로운 메추라기
의로운 메추라기

월급통장 은행 & 증권사 cma통장 중 어디가?

지금 월급 국민은행으로 들어오는데

이자가 거의 무

그래서 증권사 CMA통장으로 추천 하든데

어디사 상품이 좋을까요?

그리고 가입시 주의 있는지요? 일반 저축처럼

입출금은 자유로워야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CMA 통장은 단기 여유자금을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 높은 금리(3%) / 자유로운 입출금 / 다양한 유형이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금리는 각 증권사별로 다르니 한번 비교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https://new-m.pay.naver.com/savings/list/cma). 수수료도 확인하셔야하고, 체크카드를 쓰신다면 발급이 되는 안되는지도, 주식을 하신다면 연계 등의 부가 혜택을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찾아보니 이런 상품이 존재합니다.

    • 미래에셋증권 CMA-RP 네이버통장: 3.55% 금리, 주식거래 가능

    • 현대차증권 The H CMA: 3.50% 금리, 수수료 혜택

    • SK증권 행복나눔CMA: 3.50% 금리, 체크카드 발급


    https://www.truefriend.com/main/mall/opencma/CmaInfo.jsp?cmd=TF02bc000000

    이 링크는 한투 CMA 상품 가이드입니다.

  • 월급통장의 경우 만약 자금이 한번에 다 나가버리는 경우라면 어떠한 은행이든 편한 은행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지만 만약 자금이 빠르게 출금되지 않고 오랫동안 남아서 사용되는 경우라면 증권사의 CMA통장이나 은행의 경우에는 별도로 MMF통장을 만들어서 관리를 해주시는 것이 유리하세요

  • 급여통장 운영시 꼭 급여계좌를 한 곳으로만 설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은행권이나 증권사 대부분 급여이체에 대해 금리 우대나 이벤트들을 많이 해주고 있습니다

    CMA통장은 투자하는 여유자금 인출용으로 사용하시고 급여일 통장쪼개기로 혜택을 다수에게 받는게 더 이익 적일수 있습니다

  • 질문하신 월급통장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단 CMA는 일반 입출금 통장보다 이율이 높고 하루만 맞겨도 이자가 나오는 등의 편리성이 있지만

    결정적으로 종금형 CMA를 제외하고는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예금자보호가 되는 파킹 통장을 더 추천해드립니다.

  • CMA 통장과 같은 경우에는 날마다 이자가 발생하는 등 그렇기에 월급 통장으로써도 괜찮을 수 있으나 추후 대출 등을 위해서라면 일반은행을 이용하시는 것이 대출 이자 등을 줄일 여지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