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팔팔한파리매131
팔팔한파리매131

남극에 우리나라의 과학기지가 있다는데 여기서 어떤 것들을 연구하고 있나요?

지구상에서 가장 춥다는 남극에

우리나라의 장보고 과학기지를 설치하여 연구하고 있다는 데 여기서 어떤 것들을 연구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장보고 과학기지는 2014년에 남극에서 개설된 두 번째 기지로, 남극의 극한 환경에서 다양한 과학 연구를 수행하는 중요한 거점입니다. 이 기지는 남극대륙 동쪽에 위치한 로스해 연안에 있으며, 남극의 기후와 생태, 지질, 그리고 우주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남극은 지구 기후 변화의 중요한 지표로 여겨집니다. 남극의 빙하와 해빙(바다의 얼음)이 녹는 현상은 지구의 해수면 상승과 기후 변화에 직결되므로, 장보고 과학기지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추적하고 연구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극지방의 기후가 전 지구적인 기후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합니다. 빙하의 이동과 두께 변화, 그리고 남극 대륙을 덮고 있는 빙상의 상태를 연구합니다. 이는 남극에서 빙하의 움직임이 해수면 상승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중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또한, 빙하 속에서 고대의 기후 정보를 담고 있는 얼음 코어를 채취해 과거 수천 년 동안의 기후 변화 기록을 분석하는 연구도 수행됩니다. 장보고 기지에서는 남극 대륙의 지질 구조와 판구조론적 연구도 이루어집니다. 남극 대륙은 지구의 과거 지질학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남극 대륙 아래에 숨겨진 자원과 지구의 내부 구조를 연구하기 위해 지질학적 조사 및 지구물리학적 실험을 진행합니다. 특히, 남극 대륙의 판 구조 운동과 지진 활동을 분석해 지구의 지질학적 진화를 추적합니다. 남극의 극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생물들은 매우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남극의 바다와 육지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생물들, 특히 극한 환경에 적응한 미생물, 해양 생물, 그리고 펭귄이나 바다표범 같은 생물들의 생태와 적응 메커니즘을 연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극한 환경에서의 생명체 적응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기후 변화가 생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남극은 오존층 감소 현상을 모니터링하는 데 중요한 지역이기도 합니다. 장보고 기지에서는 남극 상공의 오존층 변화와 대기 중의 오염 물질 농도를 추적하는 연구가 이루어집니다. 또한, 남극의 특수한 위치 덕분에 우주에서 오는 방사선이나 입자들을 연구하는 데도 유리합니다. 남극은 빛 공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천문 관측에도 적합한 장소로, 우주 환경 및 기상 현상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집니다. 장보고 기지는 남극 주변의 바다, 특히 로스해를 중심으로 해양 생태계 연구를 진행합니다. 이 지역의 해양 생물 다양성과 해양 환경 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으며, 특히 극지방 해양 생물들이 기후 변화에 어떻게 적응하는지 연구합니다. 남극 바다는 기후 변화의 영향을 가장 먼저 받는 해역 중 하나이므로, 이곳에서의 연구는 전 지구적인 해양 변화와 연결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