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유류가 되는 조건이 어떻게 되는건가요?
동물 중에는 포유류 가 있잖아요 여러 종이 있는데 알을 안 낳고 새끼를 낳으면 다 포유류 인건가요????? 포유류가 되는 이유는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포유류'는 척추동물 아문의 한 강으로 포유강(Mammalia)에 속하며, ‘젖을 먹는 동물’이란 뜻으로, 젖을 먹여 새끼를 키우는 동물을 말합니다. 포유류는 대부분 탯줄을 통해 자궁 안에 있는 새끼에게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해 주고, 어느 정도 새끼가 자라면 출산을 하여 젖을 먹여 키웁니다. 포유류의 특징으로는 털이 있다는 점입니다. 인간처럼 털이 많지 않는 것들도 있고 고래처럼 신체의 아주 일부분만 털이 있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의 포유동물의 몸은 털로 덮여 있으며, 털은 피부를 보호하고 주변 온도를 절연하여 체온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대부분 새끼를 낳고 젖을 먹여 키웁니다. 오리너구리(Ornithorhynchus anatinus)나 가시두더지(또는 가시개미핥기, 바른두더지, Tachyglossus aculeatus)처럼 난생을 하는 포유류도 있지만, 이들도 새끼들은 젖을 먹여 키웁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포유류 중 오리너구리처럼 알을 낳는 예외도 있고 포유류에 속하지 않는 종이 새끼를 낳는 예외도 있기 때문에
포유류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특징은 종의 암컷이 유선이 발달하여 새끼에게 유선에서 나오는 젖을 먹여 영양분을 공급하냐를 기준으로 삼습니다.
포유류가 되기 위한 주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어미의 유선에서 분비되는 젖으로 새끼를 직접 길러야 합니다. 포유류는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출산한 후 모유로 새끼를 기르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둘째, 체온 조절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포유류는 내온동물로서 자체적으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셋째, 피부에 털이나 두꺼운 지방층이 있어 체온 유지에 도움이 되어야 합니다.
넷째, 폐로 호흡하고 네 개의 심장 방실이 있는 순환계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다섯째, 턱뼈가 단일골로 되어 있고, 세 개의 중이골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출산하여 모유로 기르며, 내온성이고 털이나 지방층이 있는 동물이면 포유류에 속하게 됩니다. 이러한 해부학적, 생리학적 특성을 갖추었을 때 비로소 포유류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네, 포유류는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낳는 동물들을 가리키는 분류군입니다. 포유류의 특징은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새김으로써 영아를 낳는 것입니다. 이는 포유류가 특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포유류가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낳는 이유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포유류의 영아는 모체의 자궁 내에서 영양을 공급받으며 성장하기 때문에 알을 낳지 않고 직접 새끼를 낳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둘째, 포유류의 새끼는 태어난 후 모유를 통해 영양을 공급받아 성장하므로, 알을 낳지 않고 직접 새끼를 낳는 것이 더 발달된 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상훈 박사입니다.
포유류는 단지 새끼를 낳는 것만으로 분류되지는 않습니다. 포유류라는 이름에서 전해지듯이 말그대로 젖을 먹여야 합니다. 이것이 가장 대표적인 포유류의 특징입니다. 이를 위해 모든 포유류 암컷은 젖샘이 있으며, 이 젖샘에서 분비되는 모유로 새끼를 키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