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알뜰한거북이58
알뜰한거북이58

미국 해리스 부통령이 대통령에 당선이 된다면 한국 반도체 기업에 유리할까요?

민주당 대통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가 친 반도체 성향인지 궁금합니다.

바이든 정부에서 반도체 지원법 등 지원 정책을 쓰고 있어 정치적 노선이 같다면 지원 정책을 계속 이어갈꺼라고

생각됩니다만, 혹시나 성향(진보적)이 강해 더 진보적으로 정책을 펼친다면 한국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카멀라 해리스가 대통령에 당선된다면 현재 바이든의 경제정책 기조와 크게 다르지 않은 정책을 펼 가능성이 크며, 즉 지금 상황과 유사한 상황이 4년 정도 더 이어지게 된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민주당 대선 후보로 낙점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당선이 된다면, 현 바이든 정부의 지원 정책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 감축법의 영향을 많이 받는 국산 반도체 기업들은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해리스 부통령이 당선되면 한국 반도체 기업에 유리한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민주당 후보가 당선이 되면 현재의 정책들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에 유리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리스 민주당 대선 후보자가 대통령에 당선되면, 일단 지금의 기술주 상승 기조는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와는 다르게 아시아 국가의 반도체 산업에 대한 불평이 없고, 자국 내 빅테크주 지원에 더 우호적인 인물이라서 우리나라 반도체 기업에게도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되는 것보다는 나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부통령인 카멀라 해리스가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한국 반도체 기업에 미칠 영향을 예상하는 것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음은 주요 고려 사항입니다.

    대중국 정책: 해리스 행정부가 어떤 대중국 정책을 채택하느냐에 따라 한국 반도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근 미국은 중국과의 기술 경쟁을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 분야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해리스가 이러한 정책을 계속 유지하거나 강화한다면, 한국 반도체 기업은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미국 내 반도체 제조 지원: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 내 반도체 제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해리스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이러한 정책이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미국 내에 공장을 세우려는 한국 기업들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에 새로운 반도체 공장을 설립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미 경제 관계: 해리스가 대통령이 된다면 한미 관계에 대한 접근 방식을 유지하거나 개선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양국 간의 경제 협력이 강화되면 한국 반도체 기업은 미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환경 및 규제 정책: 해리스는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강한 입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환경 규제를 강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이러한 규제에 잘 대응할 수 있는 기술과 전략을 가지고 있다면 오히려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반도체 산업을 강력히 지지하며, 정부 및 산업 리더들과 함께 반도체 연구 개발 및 생산 확장을 논의했습니다. 해리스는 삼성과의 협력을 통해 텍사스에 첨단 반도체 제조 시설을 설립하는 계획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 반도체 기업들은 미국 내 투자 및 협력을 통해 기술 개발과 시장 진출 기회를 확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그녀가 대통령으로 당선된다면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지원 정책을 강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한국과 미국의 경제 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미국의 반도체 산업 강화로 인해 한국 기업들이 협력 기회를 더 많이 얻을 수 있고, 양국 간의 기술 교류와 협력이 더욱 활발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