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재활용 기술 발전은 어느정도까지 올라왔나요?
전기차 배터리 폐기 문제로 심각하다는 이슈가 있던데 현재 배터리 재활용 기술은 어느정도 수준까지 발전하게 됐는지 궁금합니다. 수명이 다한 배터리를 그냥 버리게 되면 환경오염이 심각할텐데 어떻게 처리를 하는건지요? 또 재활용률은 얼마나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배터리에서 희귀 금속을 회수할 수 있다고 하던데 경제성은 있는건가요? 재활용된 원료로 다시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건지도 궁금해요. 국내 배터리 재활용 기업들이 있는지, 정부 지원은 있는 건지, 글로벌 경쟁력은 어떤지도 알고 싶습니다. 전기차가 계속 늘어나면 폐배터리도 엄청나게 쌓일 텐데, 장기적인 대책은 마련돼 있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2030년 부터 내연기관 자동차의 생산은 중단되게 되므로 이후 전기차의 시대가 오게 됩니다. 현재도 전기차가 보급된지 10년이 넘어갔기 때문에 폐기된 전기차 배터리의 처리 문제가 점차 대두되고 있습니다.
일단 기준상 배터리의 용량이 70%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전기차 배터리로 사용할 수 없어 폐기 대상입니다.
이때 폐기를 재사용 / 재활용으로 구분 합니다.
재사용의 경우는 전기차용도가 아니라 태양광 발전시 배터리 팩이나 캠핑용 배터리, ups 등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재활용의 경우가 완전 폐기를 하여 내부의 금속을 추출하는 공정입니다. 내부에 희토류 등 희귀 금속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에 현재 기술로 95% 이상 다시 추출할 수 있습니다.
현재 국내 전기차의 경우 보조금을 받았기 때문에 폐차를 하게 될 경우 지자체에 반납이 의무화 되어 있습니다. 재활용된 배터리에서 추출한 금속은 다시 사용할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기술은 빠르게 발전 중이며, 주요 기업들이 상용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리튬, 니켈, 코발트 등 핵심 소재를 90% 이상 회수 가능한 기술도 등장했습니다. 특히 직접 재활용 기술은 셀 구조를유지하면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중국, 미국, 유럽 등에서 관련 시설이 확대되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
도 적극 투자 중입니다. 다만 아직 경제성과 인프라 구축 측면에서는 과제가 남아 있다고 보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현재 배터리 재활용 기술은 안전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수준으로 발전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배터리 수명이 남아 있는 경우 분해 후 성능이 60-80% 남은 셀이나 모듈을 2차 용도로 재사용하거나 완전 방전되거나 손상된 배터리는 분해 후 리튬 및 코발트, 니켈 같은 고가 금속을 추출하여 새로운 배터리 원료로 다시 재활용되고 있습니다. 재활용 비율은 국가마다 다르지만 선진국들은 회수 및 재활용률을 45%이상 의무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대기업들도 최대 90% 재활용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2030년대 부터 재활용 원료 수요가 공급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정부와 업계는 처리 용량을 확대하고 회수 체계를 높이는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