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알뜰한개개비214
알뜰한개개비214

풍수지리가 과학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가?

제가 평소에 유사과학을 굉장히 혐오하고, 무신론자인데요.


하지만, 진짜일 수도 있겠다고 느끼는 미신 중 하나가 바로 풍수입니다.


실제로 몇백년전 과거뿐만 아니라, 현대에도 풍수가 맞아떨어졋던 사건에 관해 들은 적이 있는데요.


풍수가 과학으로 설명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만약 그렇다면 어떤 논리가 사용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풍수지리는 지리학적으로 어느정도는 설명이 가능합니다.

    과거에는 농사를 지었기 때문에 강 주변이 정착하기 좋았습니다.

    이러한 지리적인 이점이 통계적으로 적용되면 풍수지리가 좋다고 볼 수는 있으나,

    구체적인 근거가 없는 나머지 요소들은 모두 비과학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풍수지리는 과학적으로 근거가 있다고 말씀드릴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풍수지리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풍수지리의 과학적인 부분을 찾자면 남향으로 집을 짓는다는 정도는 태양이 떠오르고 지는것을 관측한 결과 남중한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결정한것이기 때문에 과학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풍수는 과학과 자연의 이치를 종합한 이론 입니다. 그것을 혐오하거나 틀리다고 말할수도 없고, 말해서도 않됩니다. 풍수지리는 전통이고 문화이고 학문입니다. 예를들어 말씀드리겠습니다. 집을지을때 또는 좋은 집터는 수불근, 도불근,산불근 이라 했습니다. 이말은 좋은 집터는 강이나 냇가 옆, 도로옆, 산주위는 좋지 않다는 것입니다. 즉 물가는 수해를 입을수있고, 도로가는 다니는 차나 운반수단에 의해 사고의 위험이 있고, 산아래 또는 산주위는 산사태 또는 산불에 위험이 있어 옛부터 집터를 볼때 기본이되는 풍수지리 기초 입니다. 이것이 유사과학 일까요? 일상생활의 경험에서 나오는 통계에의한 과학입니다. 이와 같이 풍수지리는 경험과, 예, 과학, 자연의 이치를 통틀어 만들어진 하나의 학문이며 문화로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