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독이 든 성배라는 표현은 언제 처음 사용했나요?
흔히 영예롭지만 위험 또한 큰 일을 보면서 '독이 든 성배' 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요, 성스러운 잔을 의미하는 성배에 독이 들었다는 표현을 누가 언제 처음 사용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이 든 성배라는 표현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 맥베스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작품에서 맥베스는 스코틀랜드의 왕이 될 예언을 듣고 욕망에 사로잡히게 됩니다. 이후 그는 마녀들의 도움으로 던컨 왕을 살해하고 왕위에 오르지만, 죄책감과 불안감에 시달리며 고통스럽게 죽어가게 됩니다.여기서 성배는 스코틀랜드의 왕관을 의미하며, 독이 들어 있다는 것은 맥베스가 저지른 살인과 범죄로 인해 그가 받게 될 인과응보를 상징합니다. 이처럼 독이 든 성배는 얻기 어렵지만 매력적인 것으로, 그 속에 담긴 위험과 희생을 감수하더라도 얻고 싶은 유혹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이 든 성배 '라는 말의 연원은 5~6세기 중세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성배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신자를 거느린 기독교의 상징, 예수가 최후의 만찬때 사용했다는 포도주잔을 성배 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