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나 독감은 왜 계절적으로 발생할까요?
안녕하세요?
감기와 독감은 주로 가을과 겨울에 발생하는데..
왜 계절적으로 발생하는것인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호흡기 바이러스가 날이 추워지면 활동이 증가합니다. 또한 호흡기 점막이 건조해지면서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성도 증가하게 되구요.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감기와 독감이 가을과 겨울에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추운 계절에는 대개 사람들이 실내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며 바이러스가 전파되기 쉬운 환경이 형성됩니다.
또한 추운 계절에는 공기가 건조해지는데, 이는 코와 목의 점막이 건조해져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들이 결합하여, 감기와 독감이 가을과 겨울에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추운 계절에는 항상 옷을 따뜻하게 입고, 손을 자주 씻어 바이러스 전파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도움이 된 답변이었다면 추천과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더욱 좋은 답변들이 순환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
시기별로 유행하는 바이러스가 있기 때문입니다. 감기는 200여개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환으로 리노바이러스와 코로나바이러스가 대표적입니다. 늦봄과 초가을 환절기에는 리노바이러스가 많으며, 추운 한겨울에는 다른 종류의 감기바이러스가 많습니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질환으로 A, B, C 세가지 형태가 있으며, 그 중 A형이 변이를 자주 일으켜 2009년 유행했던 신종 인플루엔자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대유행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90%를 차지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감기는 보통 코, 인후, 부비동, 기관, 기관지, 폐와 같은 호흡기에 바이러스가 감염 되면서 발생하는 호흡기질환입니다. 현재까지 감기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바이러스는 리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등 약 200여종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겨울철이나 환절기에 특히 감기가 많이 걸리는 이유는 공기가 건조하고 일교차가 심하면서 우리 몸이 외부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만큼 저항력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감기에 잘 걸릴수 있습니다. 독감 역시 환경적 원인으로 인하여 겨울철에 주로 유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