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2

관리종목 지정시 회사 주식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요.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세요.

A기업이 사업보고서를 기한 내에 제출하지 않아 A기업의 주식이 관리종목으로 지정됐어요.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면 그 주식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용수 경제전문가blue-check
    이용수 경제전문가23.05.12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거래소는 상장폐지 우려가 있는 종목을 ‘관리종목’으로 지정합니다. 사업보고서 미제출, 영업정지, 부도발생, 자본잠식, 유동성 부족, 공시의무 위반 등 상장폐지 기준에 해당되는 종목들이 관리종목 지정 대상입니다. HTS를 이용하면 투자자는 자신이 매수하려는 종목이 관리종목인지 아닌지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관리종목인 경우에는 HTS 현재가 창의 종목명 오른쪽에 관리종목임을 알리는 문구가 표시됩니다

    통상 관리종목들은 그 다음해 영업적자가 나거나, 한번더 관리종목 사유에 해당하면 상장폐지 당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가급적이면 거래를 안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단기시세를 목표로 한다면 매수하고나서 가능한 당일 매도를 목표로 하여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정사유발생시 한국거래소의 직권에 따라 일정기간 매매거래정지 명령이 발동되면 재상장되거나 정리매매후 폐지됩니다.


  • 안녕하세요. 양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경우 한국거래소의 기준에 따라 일정기간 거래정지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미수나 신용거래가 제한됨에 따라 유동성이 하락하게 되고요. 또한 지속적으로 관리종목 지정사유를 해소하지 못할 경우 상장폐지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는 주식은 매매거래가 정지될 수 있고 신용거래가 금지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는 사유는 '최소한의 유동성이 없거나' '영업실적 악화' 등의 사유로 부실이 심화된 종목으로 거래소는 사업보고서나 분기보고서 미제출, 자본잠식, 공시의무 위반 등 거래소 상장규정에 나온 기준에 따라 적용하게 됩니다.

    관리종목으로 지정이 되는 경우에는 일정기간 매매거래가 정지가 되고 거래재개시 30분 단위의 단일가 매매가 적용됩니다. 이렇게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주식을 거래하게 되는 경우에는 신용거래가 금지되고, 해당 주식을 통한 담보대출이 불가능한 제한이 생기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철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관리종목으로 지정이 되면 일정기간 매매거래정지가 됩니다. 그리고 주식의 미수나 신용거래가 금지됩니다. 추후 문제가 없다면 다시 거래 재게가 되겟지만 문제가 잇다면 상장폐지 수순을 밟게 되겟죠.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관리종목에 들어가면 향후 해당 주식이 상장폐지될 가능성이 높기떄문에 주가는 일반적으로 크게하락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