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생태계에서 모기가 줄어들면 초래하는 부작용이 있나요?

다가오는 여름철 모기는 많은 분들이 여름을 싫어하는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꿀벌과 같은 곤충은 없어진다면 생태계에 큰 영향을 끼치는데 생태계에서 모기가 줄어들면 초래하는 부작용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생명과학 전문가 이상현입니다.

    일부 학자들은 모기가 줄어들면 보이지 않는 무엇인가에서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도 하지만, 많은 연구에서 현재 모기가 사라지더라도 크게 치명적으로 변화할 특징이 없어 모든 개체를 사멸시키거나 멸종시켜도 문제가 없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모기의 심한 감소나 멸종은 생태계에 부작용을 당연히 초래하게 됩니다. 모기가 줄어들거나 멸종되면 식물의 번식(수분 작용, pollination)과 먹이사슬 변화로 이어져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 안정성에 연쇄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겁니다. 감사합니다.

  • 네, 모기가 생태계에서 줄어들면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기는 생태계에서 나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모기의 유충인 장구벌레는 많은 포식자들의 먹이가 되어주며, 생태계 먹이사슬의 기반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모기의 감소는 생태계의 기반을 흔들 수도 있습니다.

    즉, 모기는 꽃가루 수분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생태계에서 꼭 필요한 생물체로, 모기가 사라지면 수천 종, 수만 그루의 식물 역시 멸종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으며 모기가 사라지면 이 모기의 유충 장구벌레를 먹이로 하는 새들과 박쥐, 물고기, 개구리 등의 먹이사슬 균형이 깨질 수 있는 것입니다.

  • 모기의 경우도 일부 식물들의 꽃가루를 운반하여 수분에 기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생물들이 모기를 주식으로 하여 살아갑니다.

    모기 유충인 장구벌레는 다양한 물고기와 수생생물들의 주식이며, 잠자리같은 곤충과 박쥐같은 포유류도 모기를 먹으면서 생활합니다.

    따라서 모기가 사라진다면 이런 식물들과 동물들의 수도 감소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모기가 멸종한다고 해도 생태계에서 대체수단이 나타나 별다른 영향이 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영향을 많이 줄지, 적게 줄지는 역시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입니다.

    하지만 현재하는 방역이나, 집에 있는 모기를 죽이는 것 정도로는 모기의 번식력이 매우 강해 생태계에 영향을 줄 정도로 모기 수에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저도 모기는 보이면 바로 죽입니다.)

  • 모기가 사람들에게 불편함과 질병을 옮기는 존재이나, 그들이 생태계에서 유충시절부터 갖고 있는 역할이 있습니다. 모기의 유충 장구벌레는 물 속에서 서식하며 미세한 유기물을 섭취하고 분해하면서 수질을 유지하는데 어느정도 기여합니다. 또 가장 중요한 점은 다른 수생생물의 먹이사슬에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모기가 갑자기 사라지게 된다면 수생 생태계 내에서 먹이 사슬의 결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물론 모기가 말라리아, 뎅기열 등의 바이러스를 옮기는 매개체로 작용을 하고는 있으나, 모기가 감소하면 이런 질병의 빈도가 감소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 생태계의 먹이사슬 체계에서 모기는 새, 박쥐, 개구리, 도마뱀, 거리, 물고기의 중요한 먹이입니다. 따라서 모기가 사라지면 덩달아 멸종할 동물이 꽤 존재하며 더구나 모기는 수많은 식물의 수분을 담당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모기는 생태계에서 꼭 필요한 생명체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모기가 생각보다 많은 식물의 수분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모기가 멸종하면 특정 식물의 멸종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가 쵸콜랫의 원료인 카카오 나무의 수정을 모기가 담당합니다.

  • . 모기는 다른 동물들의 먹이로 작용하고, 식물의 꽃을 수분과 영양분을 전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기가 줄어들면 다른 동물들의 먹이 공급이 감소하고, 식물의 번식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