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민상담

연애·결혼

내가 좋아하는 라면은 너구리
내가 좋아하는 라면은 너구리

상견례 필참은 누구까지해야 되나요.

다름이 아니라 상견례 자리에 직계가족 참여 시 배우자도 참여하는 게 일반적이라고 하더라고요.

예비신랑은 부모님과 미혼 여동생 (총 4명)
저는 부모님과 미혼 남동생 기혼 언니(총 5명)

저희가 가뜩이나 인원이 많은데, 만약 형부까지 오시게 되면 조카 두 명도 와야 합니다 (3살 6살)

저는 상견례 자리에 아이들이 오면 산만하기도 하고, 대화도 아이들 중심으로 돌아갈까 걱정이 됩니다.

이런 경우 다들 상견례 어떻게 진행하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항상 따뜻하고 활달한 고슴도치
    항상 따뜻하고 활달한 고슴도치

    제일 심플한거는 양가 부모님과 당사자들만 만나는게 가장 심플하고 이야기 하기도 편한 것 같아요~

    조금 더 해서는 직계 가족인데

    저는 질문자님 부모님, 남동생 이렇게만 나가도 될듯. 언니는 애들본다고 못왓다고 해도 아무렇지도 않지요~

    굳이 언니가 나가고 싶다면 형부랑 애들은 빼고 가는게 낫겠습니다. 정신 사나워요~

  • 상견례자리에서의 참여가족범주는 통상 직계가족이나 형제나 고모나 이모등도 사정에 따라서 참여하기도합니다 합의된부분이라면 크게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 질문자님 상견래 자리에 누구 까지라는 것은 딱히 정해 지진 않았지만 상대 측 에서 어느 선 까지 참석 하는지 알아 보시고 형부와

    어린 조카 참석 여부는 상의 해 보시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 요새는 상견례 형제 많아도 보통 양가 부모님만 참석하시는 것 같아요.

    상견례 까지 하는 사이라면 보통 형제, 자매는 따로 먼저 만나는게 더 자연스러우실거에요.

    조카까지 참석하는 건 상대도 그렇게 나오면 모를까... 약간 어수선할 것 같네요.

  • 상견례 필참은 정해진것은 없어요 그냥 직계 가족만 참석하시면됩니다 조카들도 데리고 가도 괜찮아요 상견례자리가 무거운 분위기라서 조카들 있으모로 좋을수도 있어요~

  • 개인적인 경험으로 봤을떄 상견례 필참은 양가 부모님 및 형제까지라고 생각합니다. 형제가 결혼하여 자녀가 있다면 자녀까지 와야 되겠쬬 즉 조카까지 오는게 좋을것 같아요. 막상 상견례하면 서로 어색하고 냉랭합니다. 차라리 아이들 핑계삼아 아이들 이야기하는게 참 다행이라는 생각까지 드실거에요. 양가에 정말 할말도 없고 어색한 분위기 장난아닙니다. 그나마 조금만 아이가 있어서 애교 부려주고 분위기 띄워주는게 백배는 낫습니다.

  • 반드시 필참은 아닙니다.

    신랑쪽에서 4명이 온다면 신부님 쪽에서도 동생과 언니만 참석하셔도 됩니다.

    오히려 사람이 많으면 시끌시끌하여 대화가 순조롭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저두 부모님과 형제들만 참석하였습니다.

  • 어린아이들때문에 상견례에 방해가 된다면 부모님만 참석하시던가 형제 자매까지만 참석하셔도 됩니다. 형부나 조카까지 모두 참석할 필요는 없어요

  • 보통은 인원수를 맞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형제 숫자가 안맞으면 부모님만 만나는 경우도 있고 혹은 인원수가 안맞아도 형제들까지는 다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 기혼언니가 상견례에 오는데 형부가 오지 않는다는건 좀 이상한거 같습니다 그래서 언니와는 친자매 관계인데

    형부와 아이들은 웬만하면 참석해도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