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2.10.27

높이 있는 구름일수록 왜 온도가 더 낮을까요?

높이 있는 구름일수록 온도가 더 낮다고 알고 있는데

태양과 더 가까운 거리인데도 왜 온도가 더 낮는 걸까요?

위로 올라갈수록 더 온도가 높은 것이 아닌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있는 지면 근처의 대기인 대류권(구름이 속한 영역)은 태양으로 인한 열보다 지열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태양 에너지가 지면에서 반사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열도 지면 근처에서 뜨겁고 상공으로 갈수록 차가워집니다. 그래서 산으로 올라갈수록 지열을 받는 양이 적어져 기온이 낮아지는 것이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27

    대류권에서는 높이 올라갈수록 기압이 낮아지고 공기가 팽창하게되어 주위의 공기를 밀어내면서 열을 소모하게되고 이로인해 공기가 차가워 집니다.

    또한 지구복사열을 지표보가 적게 받기 때문에 온도가 내려갑니다.

    하지만 오존층을 지나 성층권에 들어서면 열을 흡수하게 되어 높이 올라갈수록 온도가 높아집니다.


  • 지구와 태양의 거리는 매우멀기때문에 땅이나 구름이나 별차이가 없습니다.

    구름이 있는 대류권은 높이 올라갈수록 지표면에서 나오는 지표 복사 에너지가 도달하기 힘들기 때문에 온도가 감소합니다.


  • 안녕하세요.

    태양과 가까워져서 증가하는 열보다

    지면의 복사열에 의해 증가하는 영향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대기의 밀도가 지면에 가까울수록 더 크기 때문에 대부분의 복사열을 지면 가까이서 흡수합니다.

    고도가 올라갈수록 복사열에 의한 영향에서 멀어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열을 유지하는데는 태양에서 날아오는 직사 열 에너지도 있지만,
    태양이 지구 표면에 부딪히고 이에대한 반작용으로 지구에서 내보내는 지구복사에너지가 지표면으로부터 나옵니다.

    고도가 높아질 수 록 이러한 지구 복사에너지의 영향력이 낮아지므로 온도가 내려가게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