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한국은행 총재가 우리나라 CPI가 2.3~2.4%가 되면 금리인하 고려를 한다던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한국은행 총재가 우리나라 CPI가 2.3~2.4%로 하락추세가 확인되면

금리인하를 고려한다는 발언을 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기준 금리는 3.5%이고

미국의 미국의 기준금리는 5.5%로

알고 있는데

미국은 2%대라 수치에 여유를 뒀는데

우리나라는 CPI수치가 2.3~2.4%일 경우가 물가안정이 되었다고 판단하는 근거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 그 이유는 한국은행이 물가안정목표(인플레이션 타겟팅)으로 잡는 CPI의 수준이 2% 정도이기 때문이며, 2.3% ~ 2.4% 정도가 되면 사실상 이 목표를 달성했다고 보고 물가안정이 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통상적으로 물가 상승률이 2% 초반대인 2.3% 정도를 기록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물가 상승률입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에서도 이와 같은 물가 상승률이 안정화가 가시회되면 물가 상승 압박보다는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고려하겠다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 보통 물가안정을 위해서는 인플레이션율이 목표치에 근접하거나 그에 가까운 수준을 유지해야 합니다. CPI가 2.3~2.4%로 유지된다면 물가가 안정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금리를 인하하여 경기부양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한국은행은 물가가 안정됐는지 판단할 때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중요합니다. 한국은행은 CPI가 2.3~2.4%로 낮아지면 물가가 안정되었다고 판단합니다. 이 숫자는 한국경제가 건강하게 성장하면서 물가가 너무 많이 오르지 않기 위한 목표입니다. 미국은 물가가 2% 정도일 때 안정됐다고 판단하지만 한국은 조금 더 높게 설정한 겁니다. 그래서 한국은행은 물가가 2.3~2.4%로 떨어지면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 자본주의사회에서 물가 상승은 당연하게 있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물가 상승률이 2%대 초반이기 때문입니다

    • 추가적으로 물가상승률 보다 경제성장률이 높아야 실질 GDP가 상승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올해

      더욱 크게 상승하려면 물가를 잡아야 합니다.

    • 미국의 경우는 작년에 우리나라 보다 GDP성장도 높았고 현재 물가가 3%대를 유지하고 있기에 우선 2%대로

      진입하면 금리인하를 고려하겠다고 발표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질문해주신 한국은행 총재의 물가 관련 발언에 대한 내용입니다.

    정확한 근거는 한국은행 총재만이 알겠지만

    일단 물가가 그 정도로 내려가면 한국은행의 기준으로 물가가 안정적이라고 판단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