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표준불확도와 상대불확도 의미는 무엇인가요

지구의 질량을 알아보던중에 질량옆에 (표준 불확도 6×10^20 kg, 상대 불확도 10^−4) 이럼게 나오는데 표준불확도와 상대불확도 의미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볼수록빠른치타1
    볼수록빠른치타1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표준 불확도는 측정값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측정값의 실제 값이 표준 불확도 범위 내에 있을 확률이 95%라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지구의 질량이 5.972×10^24 kg이고 표준 불확도가 6×10^20 kg이라면, 지구의 질량은 5.972×10^24 ± 6×10^20 kg 범위 내에 있을 확률이 95%라는 의미입니다.

    상대 불확도는 표준 불확도를 측정값으로 나눈 값으로, 측정값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예를 들어, 지구의 질량의 표준 불확도가 6×10^20 kg이고 상대 불확도가 10^−4이라면, 지구의 질량은 5.972×10^24 kg의 ± 1/1000000 범위 내에 있을 확률이 95%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지구의 질량은 5.972×10^24 kg이라는 측정값은 95%의 확률로 실제 값이 ± 6×10^20 kg 범위 내에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구의 질량 측정은 1/1000000의 정확도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표준 불확도와 상대 불확도는 측정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불확도는 측정값의 불화실한 정도를 나타냅니다. 상대라는 말이 붙으면 상대적인 값을 말합니다.

    상대불확도는 표준불확도/관측값으로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표준불확도는 어떠한 표준편타의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값의 범위 입니다. 즉 평균값의 표준편차 또는 표준오차라고도 불리었습니다.|

    상대 불확도는 불확도를 참값으로 나눈 값이기에 측정값의 정밀도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불확도를 다른 불확도와 비교가능하게 만들기 위해서 평균으로 나누고 100을 곱해 백분율로 표현합니다.
    즉, 다른 지표의 불확도끼리의 정도를 비교하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표준 불확도: 표준 불확도는 측정 결과의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일반적으로 표준 편차로 표현됩니다. 즉, 측정값 주변의 퍼짐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질량의 표준 불확도가 "6×10^20 kg"인 경우, 이는 질량 측정 결과의 불확실성이 약 6×10^20 kg 정도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상대 불확도: 상대 불확도는 측정 결과의 불확실성을 해당 값 자체의 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상대 불확도는 절대 불확도를 해당 값으로 나눈 비율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질량의 상대 불확도가 "10^−4"인 경우, 이는 질량 측정 결과의 불확실성이 질량 값 자체의 10^−4 비율로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질량을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질량은 물체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인 속성으로 그 무게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불확도는 측정된 값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우리가 측정한 값이 얼마나 정확한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는 측정 도구의 정확도 실험 환경의 영향 등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표준 불확도는 측정된 값의 오차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측정된 값의 오차 범위를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 실제 값이 존재할 확률이 68%라는 의미입니다. 즉 우리가 측정한 값은 실제 값과 약 68%의 확률로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대 불확도는 측정된 값의 오차를 해당 값의 크기로 나눈 것입니다. 이는 측정된 값의 상대적인 오차를 나타내는 지표로 값이 클수록 측정의 불확도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0g의 질량을 측정할 때 1g의 오차가 있으면 상대 불확도는 10%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