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결핵이라는 질병이 19세기에 특히 창궐하게된 이유가 있나요?
결핵이라면
못먹고 못사는 데서 잘 걸리는 질병이라해서
우리나라도 6.25 이후에
아주 오랜동안 번성했던 질병으로 아는데요
지금은 뭐 거의 없어졌기에 크게 관심은 없습니다만
이 결핵이라는 질병이
특히 19세기에 완전 창궐했다고 하는데요?
전세계를 휩쓴 페스트 흑사병은 아는데
결핵이 그렇게 전세계를 휩쓴지는
처음 들었습니다.
그것도 특별히 과거와 달리
19세기에 그렇게 번성해서
세계 인구를 감소시킨 이유는 뭐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결핵은 인류의 진화와 함께 했을 정도로 오래된 질병이지만 19세기 유럽의 산업화 시대에 대규모로 창궐하면서 사람들에게 ‘공포의 천형’으로 각인됐습니다.
그 원인은 인류의 도시화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결핵은 결핵균이라는 세균에 의해 감염되는 질환인데, 공중위생 관념이 부족하던 시기에 급격히 도시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전염병이 창궐하게 된 것입니다.
페스트, 콜레라보다도 더 많은, 역사상 가장 많은 수의 희생자를 낸 이 질병은 1882년 로버트 코흐 박사가 처음 결핵균을 발견한 후, 영양과 보건위생 개선 및 항생제의 개발로 마침내 꼬리를 잡혔다고 합니다.